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공기업에 '변화의 바람' 예고

■ 한전 사장에 김쌍수 前 LG전자 고문 선임<br>개혁·경영효율화 위한 고강도 구조조정 전망<br>金사장 에너지 분야에 생소해 부작용 우려 제기도


한국전력은 20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신임 사장으로 김쌍수(63ㆍ사진) LG전자 고문을 선임했다. 민간기업 최고경영자(CEO) 출신을 한전 사장에 선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신임 사장은 오는 25일께 취임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신임 사장은 주총 직후 기자와의 통화에서 “지금은 이것저것 말할 단계가 아니다. 대통령 임명 절차 등이 마무리된 뒤 자세하게 설명하겠다”면서 말을 아꼈다. LG전자 부회장 시절 각종 혁신을 주도하는 등 ‘개혁 전도사’로 활동했던 김 신임 사장이 선임되면서 국내 공기업의 맏형인 한전에도 상당한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역시 그간 공기업의 사장 선임 과정에서 가장 공들였던 곳이 한전과 KOTRA였고 관료 출신이 CEO에 앉은 KOTRA와 달리 한전은 민간 출신 첫 CEO가 선임되면서 세간의 관심을 한몸에 받을 것으로 보인다. 김 신임 사장은 취임 직후부터 LG전자 시절의 경험을 살려 거침없는 변화의 행보를 나타낼 것이라는 전망도 이 때문이다. 더구나 한전은 정부의 공기업 개혁에서 민영화 대상에서는 일단 제외됐지만 경영효율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서 개혁과 경영효율화를 위한 김 신임 사장의 고삐 죄기는 인력활용부터 고강도로 진행될 것으로 한전 내부에서도 전망하고 있다. 한전 내부에서도 김 신임 사장이 LG전자 시절 매사에 업무처리가 명확해 ‘쌍칼’이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였던 만큼 앞으로 조직 쇄신 차원에서 단행될 고위급 인사와 조직개편 방향 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편 김 신임 사장이 에너지 분야에서는 생소하다는 점, 그리고 한전이 공기업 개혁의 시범케이스가 될 것이라는 점 등이 중첩되면서 자칫 인력조정 등 경영효율화에만 지나치게 초점이 맞춰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한전의 경우 전기요금체계에 따라 실적이 좌우되는 구조를 갖고 있지만 전기요금은 한전이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 해외로의 전력수출이나 원전수출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전은 오는 2010년까지 매출액 중 해외사업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4~5%까지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비중을 더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될 정도다. 한전의 한 관계자는 “당장 중요한 것은 전력수출ㆍ원전수출 등 해외사업에 집중하는 것”이라면서 “직원들이 긴장하고 있는 것도 개혁 바람이 지나칠 경우 되레 나타날 부작용”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