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형 토익, 대입 수시 반영"

교과부, 2013학년도부터… 수능영어 대체도 추진

올해 고교 1학년이 되는 학생들이 치르는 2013학년도 대입부터 '한국형 토익'이 수시전형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토익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개발하고 있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다.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7일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개발이 큰 탈 없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오는 2012년부터 대입 수시전형에서 대학들이 이 성적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은 성인용인 1급과 학생용인 2ㆍ3급으로 나눠 개발되고 있으며 지난해 고등학생 약 2만명을 대상으로 세차례 예비시험을 치렀다. 교과부는 지난 2008년 12월 영어교육 정책 추진방안을 발표하면서 '한국형'영어시험을 개발해 2012년 처음 시행한 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외국어(영어)영역을 이 시험으로 대체할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고2가 되면 2급과 3급 중 하나를 택해 여러번 보고 일정 점수 이상 나오면 더 안 봐도 되게 하려고 한다"며 "2012년에 수능 대체 여부를 최종 결정하겠지만 이런 식으로 가면 결국 수능에서 영어는 떨어져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 수능 영어를 대체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면 '3년 예고제'에 따라 2015년(2016학년도) 이후부터 적용되게 된다. 그는 이어 "수시에는 수능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참고자료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요구가 있다"면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 수능 영어를 대체하지 못하더라도 수시전형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대학에 권장하겠다"고 덧붙였다. 교과부는 늦어도 내년 말까지 개발을 끝내고 2012년 3월부터는 정식 시험을 실시해 9월부터 시작되는 2013학년도 대입 수시전형부터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금용한 교과부 영어교육강화팀장은 "수시모집에서 외국어 특기자전형 등 특정 영어시험 성적을 요구하는 전형에 이 시험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전체 대학 모집정원의 10%까지 확대되는 입학사정관제와 관련, 안 장관은 "증액된 지원예산이 사정관 양성과 정규직화, 평가항목 체계화에 활용되도록 하겠다"면서 "학교 밖에서 얻어지는 '스펙'인 토플이나 토익ㆍ해외연수ㆍ봉사활동 등은 입학사정관들이 전형에 활용하지 않도록 현재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