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채권금리 단기 급락… 추격매수 '주의보'

국내 채권금리가 단기급락하면서 추가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채권 투자자금이 주식 등 위험자산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2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10년물 채권금리는 지난 27일 4.21%을 기록, 리먼브러더스 파산 직후로 사상최저치였던 2009년 1월 4.16%에 근접했다. 10년물 금리는 28일 4.19%까지 하락하기도 했지만 오후들어 반등하면서 4.20%대에 머물렀다. 국채 5년물도 이날 한때 3.79%을 기록, 최저치였던 3.72%에 육박하는 등 특히 장기물을 중심으로 채권시장이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의 2011년도 소비자물가 예상치는 3.4%인데 반해 국채 1년물 금리는 지난 27일 기준 2.86%에 불과하다. 물가 수준을 감안할 때 채권에 투자하면 손실을 보는 셈이다 채권시장이 이렇게 강세를 보이는 것은 글로벌 유동성이 보다 펀드멘털이 튼튼한 한국 채권시장으로 쏟아져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채권금리가 단기간에 급락하면서 금융위기 때 수준으로 떨어져 투자 매력도가 낮아졌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단기조정 가능성이 있다며 추격매수에 대해 신중할 것을 당부하는 이유다. 조중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경기회복이 진행되는 과정에 있는데 원화채권이 계속 안전자산으로 인식될 수 있을 지는 회의적”이라며 “추격매수에 나서기보다는 좀더 우호적인 레벨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민동원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도 “대외적인 강세요인에도 불구하고 가격부담이 크다”며 “당분간 박스권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채권투자자금이 주식 등 위험자산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이다. 채권과 주식 시장의 투자자는 구별된다는 점에서 이동이 많지는 않겠지만 증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홍정혜 신영증권 연구원은 “현 금리수준은 국내 투자자들에게는 전혀 매력적이지 않다”며 “국내자금들이 주식시장으로 이동할 가능성은 상당히 높아졌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