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지수에 편입되려면 외환흐름을 모니터링하는 외환정책 자체를 수정해야 하지만 금융당국은 오히려 외환유출입 관리를 더욱 강화하는 추세다. 게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국자본의 지나친 유출입이 국가경제에 끼치는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선진지수 편입을 통해 외국인 투자유치를 확대해야 한다는 명분도 약해진 상태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MSCI 지수편입 여부를 결정하는 MSCI바라는 오는 6월11일 선진국 편입 심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MSCI지수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투자하는 대형 펀드들이 추종하는 벤치마크 지수다. 증시전문가들은 한국증시가 선진지수에 편입되면 외국인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009년 이후 한국 증시의 MSCI 선진지수 편입이 시장의 관심사로 떠올랐지만 4년 연속 진입에 실패했다.
하지만 증시관계자들은 올해에는 별 기대를 걸지 않고 있다. 지난해 MSCI바라가 한국증시의 선진지수 편입을 승인하지 않은 핵심 이유로 지목했던 문제들에 대한 개선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MSCI바라는 지난해 “정규시장 거래시간 이외에 외화를 환전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ID시스템(외국인 투자자 등록제도)를 엄격히 고수해 외국인이 투자활동하기 어렵다”고 지적했지만 금융당국의 불가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한국거래소 한 관계자는 “MSCI바라가 지적한 환전자유화, ID등록 폐지 등은 외환시장을 모니터링하는 우리나라의 외환정책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당국이 받아들일 가능성이 거의 없다”며 “오히려 최근 국내에서는 토빈세 등이 거론되고, 전세계적으로도 외환자금의 유출입을 통제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4~5년 전에 MSCI 선진지수 편입을 추진했을 때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외국자금 유입이 필요했지만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고 덧붙였다.
시장에서도 별 의미를 두지 않는 분위기다. MSCI 선진지수에 편입되면 대형 외국펀드들이 한국 시장투자를 더 늘리기 때문에 증시에는 호재가 확실하지만,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떨어진다고 보기 때문이다.
증권사 한 연구원은 “올해는 작년과 달리 북한 리스크 문제가 더해져 오히려 상황이 더 나빠졌다”며 “선진지수 편입 필요성도 없고, 가능성도 거의 없기 때문에 증시흐름에 영향을 끼칠 소재로 보기 어렵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