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리해고 평균연령 49세

IMF이후 기업 4곳중 1곳 실시… '사오정' 통계로 입증

외환위기 이후 직장인 정년이 45세라는 의미의 ‘사오정’이라는 단어가 통계로 입증됐다. 13일 한국노동연구원이 펴낸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 이후 기업 4곳 중 1곳의 근로자들이 평균 49~50세때 정리해고나 명예퇴직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원이 2002년 1,181개 기업의 본사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업체실태조사’ 자료에서 97년말부터 2002년까지 정리해고나 권고사직을 실시한 기업은 24.3%인 287곳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에서 정리해고나 권고사직을 당한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49.2세, 근속연수는 12.1년이다. 기업의 정리해고 및 권고사직 선정기준(복수응답)은 징계 49.1%, 인사고과 46.3%, 근속연수 37.6%, 나이 36.6%, 성별 21.6% 등의 순이다. 퇴직 근로자에 대한 재고용 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29.8%가 “비정규직 고용때 재고용 의사가 있다”고 답했으며, 다음으로 ‘최종 월평균 보수의 50∼70% 지급때’ 25.2%, ‘기본급 지급때’ 19.6%, ‘파트타임 고용때’ 15.0% 등의 순이다. 이밖에 기업의 70.1%는 단순 정년제, 12.5%는 직종ㆍ직급 정년제를 각각 실시 중이며, 직종별 평균 정년은 관리 57.9세, 연구개발ㆍ기술 57.7세, 사무 56.6세, 서비스ㆍ영업 56.0세, 생산ㆍ기능 56.5세, 직급별 정년은 대리 미만 53.6세, 대리 53.9세, 과장 55.3세, 차장 55.7세, 부장 57.8세, 임원 56.6세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