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불황여파…씀씀이 작아졌다

쇠고기 매출 줄고 돼지고기·닭 소비 늘어<BR>외식·브랜드 외면 저렴한 PB·리필 선호

내수 침체가 갈수록 심화되면서 절약형 소비가 폭넓게 확산되고 있다. 소득이 줄어든 서민들이 한푼이라도 아끼기 위해 절약형 제품들을 주로 구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세계 이마트에서는 1~11월 쇠고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 줄었지만 돼지고기는 23%나 늘어났다. 롯데마트에서도 올들어 쇠고기 매출이 지난해보다 4.5% 감소한 반면 돼지고기와 닭고기는 각각 28.8%, 10.2% 늘어났다. 수산물은 갈치나 연어 같은 고급 생선보다 고등어, 꽁치, 오징어 등 저렴한 생선이 많이 팔리고 있다. 이마트의 경우 1~11월 고등어, 오징어, 꽁치 등의 매출은 20~30% 늘었지만 갈치, 연어, 돔은 5~10% 줄었다. 또 가격에 비해 양이 많은 상품이 잘 팔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에서는 1~11월 캔 맥주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정도 줄었지만 병 맥주와 페트병 맥주는 30% 늘어났다. 매년 두자릿수 신장률을 보였던 즉석밥 매출은 1%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일반 쌀은 쌀 소비 둔화 추세에도 9% 신장했다. 라면의 경우 봉지 라면은 매출이 22% 늘었지만 상대적으로 값이 비싼 컵라면은 6% 늘어나는데 그쳤으며 빙과류도 아이스바 제품은 매출이 61% 늘어난 반면 고급형인 컵 제품은2% 증가에 그쳤다. 일반 브랜드 상품보다 가격이 저렴한 자체 브랜드(PB) 상품도 알뜰 소비자들로부터 인기가 높다. 롯데마트에서는 일반의류 매출이 올들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감소한 반면 일반의류에 비해 가격이 40% 가량 싼 PB 의류는 97.7%의 높은 신장률을 보였다. 중저가 PB의류 브랜드 `위드원'은 지난해보다 2배 가량 많이 팔리며 효자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마트에서는 올들어 PB우유 브랜드인 `이플러스' 흰 우유 매출이 지난해보다 16% 늘어나 흰 우유 판매량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마트가 P&G와 함께 개발한 기획 화장지도 매출이 15% 신장했다. 리필제품도 인기다. 롯데마트에서는 올들어 리필형 세제 매출이 지난해보다 18.7% 늘어났다. 이는 전체 세제 매출 신장률(10.1%)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외식을 꺼리면서 가정에서 먹을 수 있는 간식류 판매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마트에서는 냉동감자, 치즈스틱, 찐빵, 핫도그 같은 간식 제품 매출이 지난해보다 10~15% 늘었으며 여름철 먹거리인 냉면, 비빔면 역시 지난해보다 25% 가량 많이 팔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