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웰빙포트폴리오/ 4월호] 1분기 펀드수익률 분석

코스닥강세 효과 주식형 '완승'<BR>성장형펀드 수익률 8.18%로 주가보다 높아<BR>운용사별론 미래투신 15.18%로 수익률 1위<BR>연초 금리급등 영향 채권형은 -0.19% 기록




‘1분기 펀드 시장은 주식형 펀드의 완승.’ 올해 1분기 펀드 시장의 특징은 코스닥을 중심으로 한 주식형 펀드의 강세와 금리급등으로 수익률이 하락한 채권형 펀드의 약세로 요약된다. 펀드평가사인 제로인이 올들어 지난 3월25일까지 각 유형별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성장형 펀드의 수익률은 8.18%로 종합주가지수 6.74%, 코스피200 7.42%보다 높았다. 안정성장형과 안정형은 각각 4.99%, 2.20%, 인덱스 펀드는 종합주가지수와 비슷한 6.86%를 기록했다. 성장형 펀드의 강세는 펀드 내 편입비중이 높은 중ㆍ소형주와 전기전자ㆍ운수장비 업종의 상승세 때문으로 풀이된다. 3월 들어 주식시장은 하락세로 주춤했지만, 올들어 유가증권시장은 6.74%, 코스닥은 18.15% 오르는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코스닥 시장의 강세와 함께 코스닥 펀드의 움직임도 눈에 띈다. 1월 7.63%, 2월 5.50%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다가 3월 9.02%가 하락하면서 올들어 3.31% 상승하는데 그쳤다. 운용사별로는 미래투신과 신영운용이 각각 15.18%, 13.71%를 기록해 가장 높았고, 칸서스ㆍ미래에셋자산 등이 뒤를 따랐다. ◇주식형 펀드, 배당ㆍ가치주 펀드 강세= 운용규모가 100억원 이상인 84개 성장형 펀드 중 가장 양호한 성과를 보인 펀드는 한투운용의 ‘TAMS거꾸로주식A-1펀드’로 1분기 동안 20.6%를 달성했다. 집중적으로 편입한 운수장비ㆍ화학ㆍ건설업 등이 양호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펀드 성과도 좋게 나타났다. 한투운용은 개별펀드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냈지만, 성장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7.89%로 유형평균을 밑돌았다. 미래투신과 미래자산운용은 3월 들어 성과가 다소 주춤했지만, 1분기 동안 가장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두 회사는 평가대상 펀드 전부가 성장형 펀드 상위 20%이내에 포함되는 등 고르게 좋은 실적으로 기록했다. 신영투신운용도 상위 20%이내의 전체 성장형 펀드가 포진하는 고른 성과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한일ㆍ삼성ㆍ프랠클린운용은 5%미만의 수익률을 달성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평가대상 22개 운용사 중 유형평균을 웃도는 곳은 13개로 절반을 넘었다. 개별 펀드에서 배당주나 가치주 펀드의 강세는 여전했다. 100억원 이상 펀드 중에서 배당또는 가치주로 분류되는 신영비과세고배당주식형이 14.1%, 세이고배당주식형은 13.5%로 양호한 성과를 이어갔다. ◇채권형 펀드, 마이너스 성과=채권형은 연초 급등한 금리의 영향으로 -0.19%의 수익률을 기록하는 등 연초 이후 마이너스 성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 금리 하락으로 수익률을 다소 회복했지만, 손실을 회복하기에는 시간이 충분치 않았다. 채권형 중 국공채형은 -0.41%를 기록한 반면 공사채형은 -0.05%로 수익률 차이가 컸다. 이는 채권시장에서 국고채3년물은 0.74%포인트, 통안채2년물은 0.79%포인트 하락한 반면 회사채AA-3년물은 1.06%포인트 하락했기 때문이다. 회사채의 금리상승(채권가격 하락) 폭이 적었을 뿐만 아니라, 회사채의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수입(금리)이 펀드의 전체 수익률을 높여줬다는 분석이다. 운용사 중에서도 회사채 비중이 높은 곳의 성과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도이치운용은 1개 펀드(1,137억원)가 0.69%의 수익률을 기록해 가장 좋은 성과를 나타냈다. 회사채 편입비중은 약 70%. 아이운용도 0.63%의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통안채 비중을 70%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적절한 만기구조 전략을 구사하는 전략으로 양호한 성과를 달성했다. 반면 채권형 운용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운용사 중 1분기 가장 저조한 성과를 보인 곳은 KB운용으로 -1.05%를 기록했다. 장기채를 중점적으로 편입하는 운용스타일을 유지하면서 연초 금리 급등 때 상대적으로 손실이 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