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EU" 준국가 지위 인정해달라"

유엔 결의안 추진… 20일 정상회의서 대통령 선출

유럽연합(EU)이 유엔에 준국가 수준의 지위를 요구할 것이라고 영국 일간 더타임스 인터넷판이 19일 보도했다. EU를 대표하는 정상회의 상임의장(일명 EU대통령)은 19일 오후(현지시간) 열리는 EU정상회의에서 선출한다. 더타임스에 따르면 EU는 내달 1일 'EU의 미니 헌법'으로 불리는 리스본 조약 발효를 계기로 유엔이 EU의 지위를 바티칸이나 팔레스타인과 같은 준국가로 인정해 줄 것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추진 중이다. EU의 지위 강화를 골자로 한 결의안 초안은 현재 본부가 있는 브뤼셀에서 논의되고 있으며 최종안은 EU 정치안보위원회(PSC) 회의에서 채택되고, 다음주 유엔을 방문하는 유럽의회 의원들이 이 같은 뜻을 전할 예정이다. EU가 추진하고 있는 유엔총회 결의안이 적용될 경우 EU는 유엔총회와 위원회에서 별도의 의석과 명패를 부여 받게 된다. 또 투표권은 없지만 토론에 참여하고 결의안 공동 스폰서가 될 권리도 갖게 된다. 미국 뉴욕의 유엔 본부의 EU 외교관 역시 15명에서 약 50명으로 늘어난다. EU는 또 리스본 조약에 따라 19일 27개 회원국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EU를 대표할 대통령을 선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EU대통령 선출이 난항을 겪고 있다. EU 대통령 선출하는 정상회의는 브뤼셀 EU본부에서 현지시간으로 19일 오후 5시15분(한국 시간 20일 새벽 1시 무렵)에 시작할 예정이다. 회의 통역팀이 3개로 꾸려져 각각 7~8시간 가량 통역을 담당하게 했다. 따라서 회의가 밤새 이어지거나 다음 날까지 끝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서는 최종 선출까지 걸리는 시간이 지난 2004년 6월 EU 집행위원장 선출에 걸린 48시간을 능가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EU 대통령으로는 헤르만 반 롬푸이 벨기에 총리가 유력하게 꼽히고 있지만 실제 결과를 가늠하기는 힘든 상태다. 27개 EU 회원국 가운데 8개국이 아직까지 특정 후보 지지 여부에 대해 침묵하면서 예측을 어렵게 하고 있다. EU 대통령 선출에는 독일과 프랑스,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 등 빅6 국가의 영향력이 크지만 의견이 정리되지 않고 있다. 영국은 토니블레어 전 영국총리를 밀고 있지만 독일과 프랑스는 이에 반대하고 있다. 독일과 프랑스는 롬푸이 벨기에 총리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이 EU관리들의 전언이다. EU대통령과 함께 신설되는 EU의 외무장관 직은 마시모 드알레마 전 이탈리아 총리와 올리 렌 EU 확장위원회 위원, 미구엘 앙겔 모라티노스 스페인 외무부장관, 우술라 플래스니크 전 오스트리아 외무장관 등이 후보군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