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요 항구 "기름유출 남의 일 아니다"

울산 하루1건꼴…유조선 사고위험 상존<br>대비책은 고작 형식적 육상방제훈련 뿐 해상사고 운영시스템 대대적 정비 시급

태안 유조선 기름유출 사고가 난 지 6일째인 12일 태안반도 서남쪽 20km지점에서 해군이 구조함과 고속정을 동원해 기름의 확장을 막고 있다./태안=홍인기기자

충남 태안 지역 기름유출사고 처리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국내 최대 액체물류항인 울산항을 비롯, 여수ㆍ광양ㆍ인천항 등 원유나 화학물질 등 각종 위험물류를 취급하는 국내 주요 항구들이 대형 해양오염사고 위험에 여전히 노출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보다는 사고 발생시 방제하는 훈련에만 더 치중하고 있으며 그나마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해상사고 운영시스템 전반에 대한 대대적 점검과 함께 사고예방관찰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 해상안전 관리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2일 각 지방 해양청에 따르면 국내 위험물류의 60% 이상을 취급하는 울산항의 경우 언제든 대형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상존해 있다. 지난해 기준 울산항은 1억3,000만톤의 위험물류를 처리했고, 이 가운데 SK에너지㈜와 S-OIL㈜ 등 국내 2대 정유회사의 원유 수입물량만 6,650만톤에 달했다. 이처럼 엄청난 양의 위험물류가 드나들다 보니 올 상반기 동안 울산항에서 발생한 해양오염사고는 무려 171건으로 이미 지난해 수준(169건)을 넘어섰다. 매일 한번씩 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이중 해경과 해양청ㆍ정유회사가 공동으로 방제작업에 나선 기름유출사고도 올 상반기 동안 12건으로 지난해(8건)보다 50%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항의 이 같은 해양오염사고 다발은 방제훈련에만 치중된 현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데 있다. 실제 울산항의 해양오염 방지기구는 해양청과 해경ㆍ정유회사 관계자들이 참가하는 ‘위험물 하역관리 TF팀’이 유일하다. 하지만 이 TF팀도 각 기관 관계자 2~3명이 참가, 분기별로 간담회를 개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정유회사들도 분기별 방제훈련만 실시하고 있다. 국내 석유화학제품의 25%를 생산하는 여수산업단지를 배후에 둔 광양ㆍ여수항도 태안 지역 유류오염사고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지만 아직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해 고심하고 있다.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은 광양항이 지난해 말 기준 연간 8,395만1,000톤의 유류를 처리하고 있어 선박에 의한 유류 유출이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 조만간 선박과 안전시설, 관련 업체 및 종사자 등에 대한 특별점검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여수해양청은 또 대형 선박 간 접촉사고 등을 막기 위해 항내에서 입출항과 항해규칙 등을 특별히 관리하기로 했다. 해양오염 방제전문가들은 “현재 육상 위주로 된 점검 및 예찰 시스템으로는 효과적인 사고방지가 될 수 없다”며 “주변 수역을 해상에서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첨단 예방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 연간 800만㎘의 원유가 수입되고 있는 인천항의 경우 GS칼텍스ㆍSK인천정유 등 모두 6개 저유소에 270만3,022㎘의 위험물 저장소가 위치해 있어 해양오염사고 가능성이 상존해 있으나 연간 해상방제훈련은 고작 분기에 1회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훈련시 민간인 선박을 동원해야 하는데다 이들 선박을 동원할 경우 1척당 60만원씩 지원(유류대 등)해야 하는 부담이 커 배를 동원하는 척수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고 인천해양경찰서 관계자는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