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고래 싸움에 등터지는 PP

[기자의 눈] 고래 싸움에 등터지는 PP 김영필기자 susopa@sed.co.kr "우리 채널 이름은 빼주세요." 케이블TV 업계와 위성방송 사업자인 스카이라이프 사이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이 곤욕을 치르고 있다. 케이블TV 협회 산하 PP협의회는 16일 회원사 이름으로 한 일간지에 정부의 위성공시청망(SMATV) 허용 정책을 반대한다는 뜻의 성명서를 냈다. 스카이라이프가 공시청망을 쓸 수 있도록 하는 SMATV가 실시되면 케이블TV 업계와의 저가 경쟁 때문에 PP들이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는 내용이다. 흥미로운 것은 성명서에 나온 회원사들의 목록이 처음과 달라졌다는 점이다. 몇 개 회원사들이 빠졌다. 스카이라이프로부터 읍소(?)를 받은 일부 회원사들이 성명서에서 자신의 회사 이름을 빼달라고 요청했다는 후문이다. 스카이라이프는 해당 내용을 부인하고 있지만 상당수 PP업체들이 이 같은 권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MPP의 한 관계자도 "스카이라이프로부터 연락을 받았는지는 인정도 부정도 해줄 수 없다"고 부담스러워했다. 중요한 것은 케이블TV와 스카이라이프 간의 싸움에 PP들과 시청자들의 권리는 간과되고 있다는 점이다. 플랫폼 사업자가 우월적인 위치를 이용, PP를 대하고 있다면 이는 분명 문제다. 또 사업자의 이해관계 때문에 PP가 채널 라인업 등에서 불이익을 받는다면 시청권의 침해로 이어질 것이다. PP들에게 억울한 점은 또 있다. 최근의 논란 와중에도 PP협의회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의 낮은 수신료 정책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지 않다. PP협의회가 SO협의회와 함께 있기 때문일까. 실제로 PP들은 SO들이 적게 주는 수신료 때문에 속앓이를 하고 있지만 SO들로부터 불이익을 받을까 제대로 말도 못 꺼내고 있다. 더이상 특정 사안과 수신료 문제 등에 있어 PP의 생각은 제외된 채 플랫폼 사업자들의 입장만 반영돼서는 안될 것이다. 상호경쟁과 다툼에도 적절한 룰이 있는 법이다. 입력시간 : 2007/10/16 17:0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