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의 소득이 외벌이보다 겨우 15% 정도 더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사람이 번다고 수입이 두 배로 느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맞벌이의 함정'이라 할 만하다.
LG경제연구원은 25일'한국 맞벌이, 가사노동 시간이 부족하다'는 보고서에서 맞벌이 가구가 외벌이 가구보다 15% 정도 소득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부족한 가사노동 시간으로 인해 지출이 늘고 효용은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보고서가 인용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맞벌이 주부는 퇴근 후 육아∙가사 등에 하루 평균 3.7시간을 쓴다. 이는 일본의 4.8시간, 미국의 4.5시간에 비해 크게 부족하다. 가사노동 시간이 부족하다 보니 관련 지출은 늘고 있다. 아이를 돌볼 육아 도우미를 고용하거나 식사준비 대신 외식을 하다 보니 외벌이보다 한 달 평균 20만원을 더 쓰는 것이다.
가사노동을 포기한 데 따라 효용도 감소한다. 청소가 안 돼 있거나, 빨래가 밀리거나, 어린이를 혼자 두는 것도 일종의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이런 현실 때문에 맞벌이 가구가 외벌이 가구에 비해 총 70만원의 효용을 손해 본다고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맞벌이와 외벌이의 소득 격차는 겨우 15%에 불과해 부부가 함께 벌어도 혼자 일하는 가구에 비해 실질소득 수준이 그리 높지 않다는 결론이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 같은 계산법을 적용해보면 맞벌이가 외벌이보다 50%나 더 버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 여성은 낮은 임금 수준과 장시간 근로 때문에 미국 여성보다 깎아먹는 수입이 많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정부의 보육비 지원정책이 한시적 도움은 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장기간 근로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시간제 근무, 유연근로제 등 탄력적인 근무방법 도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