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리금융 매각구도 변화 불가피

하나금융지주가 외환은행 인수를 사실상 확정함으로써 정부가 추진 중인 우리금융지주의 매각구도에도 변화가 불가피하게 됐다. 유력한 인수후보로 꼽히던 하나금융이 외환은행으로 방향을 선회하자 경쟁입찰 구도를 유지하려고 했던 정부는 수의계약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우리금융은 당초 예정했던 자체 민영화 계획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우리금융은 그동안 연기금 등 국내외 기관투자자 4~5곳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법이 허용하는 한도(10% 미만) 안에서 지분을 분산 소유하는 민영화를 추진해 왔다. 하지만 금융권 일각에서는 경쟁입찰 구도가 형성되질 않아 계획이 차질을 빚을 경우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이 다시 장기전으로 돌입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 KB금융지주가 전격적으로 우리금융 인수전에 참여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가능성은 크지 않다.반면 지방은행인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은 각각 3파전이 벌어질 정도로 인수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외환은행 인수를 기대했다가 아쉬움을 남겨야 했던 산업은행도 앞으로 인수합병(M&A)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수신 기반이 취약한 산은 입장에서는 외환은행이 소매 영업기반을 갖춘 데다 해외사업에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는 상당히 매력적인 카드였다. 하지만 정부의 반대에 밀려 돌아설 수밖에 없었던 만큼 앞으로 M&A 시장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 민유성 산업은행장은 평소 “수신 기반 확보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M&A를 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또 금융권에서는 정부가 우정사업본부 민영화를 추진하게 되면 우체국금융부문에 대한 M&A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우체국 민영화 계획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 수신 기반이 필요한 산업은행은 물론 기업은행 등이 M&A에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