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HP 국내 노트북 배터리 리콜 "수동적"

소극적 홍보로 회수율 6%뿐

HP가 지난해부터 전 세계적으로 노트북 배터리 리콜을 진행하고 있지만 국내 리콜 성적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HP는 지난 5월말부터 추가 모델을 대상으로 2차 리콜을 하고 있지만 수동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 27일 정보기술(IT) 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HP는 지난해 5월부터 화재 위험이 있는 21개 모델 노트북 배터리에 대해 리콜에 들어갔다. 국내에서도 해당 모델 제품 3,000대가량이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가 HP로 제출받은 지난 1년간 리콜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배터리 회수율이 국내에서 판매된 수량의 6% 정도에 불과했다. HP는 올해 들어 5월부터 화재 위험성이 있는 배터리 6개 모델을 추가해 2차 리콜을 벌이고 있으나 현재 진행 상황으로는 회수율이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년간 회수율이 저조했음에도 불구하고 2차 리콜 역시 조용히 실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IT업계의 한 관계자는 "리콜의 취지는 문제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다가 소비자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업체가 자발적으로 나서는 것"이라며 "고객이 인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HP 노트북을 구입한 경우 제품이 리콜 대상임을 확인하려면 HP 제품교체 및 리콜 페이지(bpr.hpordercenter.com/hbpr/M14.aspx)에 접속해 배터리에 찍힌 바코드 번호를 확인하면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