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선거운동 1주일이 지난 17대 대선의 풍속도가 크게 달라졌다.
주요 대통령 후보들이 너도나도 청년실업과 양극화ㆍ성장전략 등 오로지 ‘경제’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면서 북한 핵 문제, 남북 화해, 북미관계 등 통일ㆍ외교ㆍ안보 이슈가 전면에서 사라졌다.
5년이 지난 지금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는 현대건설 최고경영자(CEO)와 서울시장을 지낸 이력을 강조하면서 ‘경제를 살릴 대통령론’으로,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는 ‘좋은 경제 좋은 성장론’으로 선거 포스터와 현수막을 채우고 있다.
진보진영인 권영길 민주노동당 후보 역시 ‘서민 경제의 대변자’를 자처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를 내걸고 있고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는 유한킴벌리 사장 재직시 경험을 강조하면서 ‘일자리 500만개 창출’을 약속하고 있다.
이슈뿐만 아니라 선거운동 방식도 달라졌다. 먼저 돈줄이 묶이면서 유세 현장에서 동원된 것으로 보이는 청중이 거의 사라졌다. 유세차를 타고 거리유세를 할 때 모여드는 청중의 규모와 열기가 5년 전에 비해 현저히 줄었다는 것이 각 후보 캠프 관계자들의 공통된 얘기다.
청중 감소로 일방통행식 연설이 먹혀들지 않자 후보들은 저마다 감성에 호소하는 캠페인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정동영 후보의 ‘안아주세요’ 캠페인과 이명박 후보의 ‘프리허그’운동이 서로 원조 공방을 벌일 정도로 유권자와의 스킨십을 넓히려는 경쟁이 치열하다.
이회창 무소속 후보는 양복 대신 점퍼를 걸치고 2,000원짜리 백반과 1,500원짜리 국수, 3,000짜리 국밥으로 끼니를 때우는 등 서민 행보를 펼치며 지난 2002년의 ‘귀족 후보’ 이미지를 벗는 데 주력하고 있다.
유세 현장의 첨단장비 사용도 일반화됐다. 거대 의석을 지닌 정당 후보인 이명박ㆍ정동영 후보는 통신위성을 활용해 유세 장면을 전국에 분산배치된 차량을 통해 동시 생중계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유세 시스템을 선보였다.
상대적으로 주머니 사정이 빈약한 후보들은 UCC 동영상, 인터넷 토론회 등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저비용 고효율’ 홍보전에 주력하고 있지만 강화된 선거법 규정에 발목이 잡혀 있다.
거리유세 현장에서 분위기를 띄우던 개그맨이나 유명 가수들의 모습이 사라진 대신 지역구 의원들이 후보에 앞서 마이크를 잡는 경우가 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