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문화재 감시, 광섬유 센서가 적격"

표준과학연구원 광섬유·적외선 카메라 시스템 선봬


문화재 보호를 위한 감시시스템에 광섬유를 이용한 기술이 발표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원장 정광화)의 안전계측연구단장인 안봉영(사진) 박사는 문화재 감시에 광섬유와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이 적합하다고 13일 밝혔다. 안 박사에 따르면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은 최대 수㎞에 달하는 광섬유를 문화재 주변에 설치하면 약 1m 간격으로 침입감지 또는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길이의 광섬유를 숭례문 주변과 건물 내에 설치하면 1m 간격으로 온도변화를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약 2,000개의 온도 데이터를 위치별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광섬유 센서에 적외선 열감지 카메라를 연동시키면 변화가 감지된 위치를 감시카메라가 촬영해 이상 유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광섬유 센서를 이용할 경우 전기가 아닌 빛을 이용하므로 전기누전 등의 위험이 없으며 0.25㎜ 굵기의 광섬유만 설치하면 가능하기 때문에 문화재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침입감지의 경우 문화재 주변 잔디밭 등에 깊이 10㎝ 내외로 매립해두면 사람이 밟고 지나는 정도의 압력에 반응한다. 현재 안 박사팀은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침입감지 기술은 이미 개발이 완료돼 민간기업에 기술이전했으며 화재감지 기술은 지난해 개발을 마쳤다. 설치비용의 경우 감시용 컴퓨터 등을 제외하고 약 400m 길이를 설치하는 데 10만원 내외면 충분하다고 안 박사는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