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올 추석도 경기지표 곤두박질치나

최장9일 연휴에 경제당국 바짝 긴장<br>2003년 소비 침체·경기선행지수 마이너스로<br>2004년 산업생산증가율 8개월만에 한자릿수<br>작년 3일연휴에도 설비투자 하락폭 크게 늘어


“추석 연휴와 경기지표는 악연인가(?)” 최장 9일에 이르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재정경제부 등 경제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가뜩이나 경제가 불안한 상황에서 근래 들어 가장 긴 연휴로 인해 10월 경제지표가 곤두박질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 재경부는 추석을 앞두고 이 같은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상태다. 지난 9월21일 정례 브리핑에서 재경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번 추석 연휴가 징검다리 휴일까지 감안할 경우 최장 9일에 이를 것으로 예상돼 10월 경제활동을 상대적으로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발 더 나아가 그는 “2005년에는 추석 연휴가 9월 말이었으나 올해는 10월 초로 돼 있어 추석 연휴기간의 변동과 조업일수 단축 등으로 10월에는 지표의 급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걱정하기도 했다. 흥미로운 것은 경제당국의 이 같은 고민이 비단 어제오늘만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2003년 이후 매해 추석 연휴기간이 속한 달의 경제지표를 보면 좋은 신호를 찾아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소비도 추석을 앞두고 반짝 상승할 뿐 전체적으로는 부진을 면치 못하는 등 한국 경제에서 ‘추석 특수’는 사라져가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2003년 추석, 소비침체 지속=2003년 추석은 9월10일부터 14일까지 최장 5일간의 연휴였다. 연휴가 낀 9월 경제지표를 보면 소비침체가 부진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한 것이 특징이다. 실제 2003년 9월 도ㆍ소매 판매는 2002년 9월에 비해 3.0% 감소했다. 특히 백화점은 전년동월 대비 14.0% 감소했다. 소비침체는 내수위축으로 연결돼 주요 내수업종의 생산 증감률이 2002년 9월에 비해 의복ㆍ모피가 24.2% 감소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 특히 2003년 9월에는 3개월 연속 상승했던 경기선행종합지수가 다시 마이너스로 반전되기도 하는 등 추석 연휴가 실물경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성장률도 3.1%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2004년 추석, 산업생산지수 한자릿수 추락=2004년 추석 연휴는 9월25일부터 29일까지였다. 경제지표가 전하는 2004년 9월 한국 경제는 최악의 성적 그 자체였다. 우선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동월에 비해 9.3% 증가하는 데 그쳐 8개월 만에 한자릿수로 추락했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9월 -0.2%를 보여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도ㆍ소매 판매도 전년 같은 달에 비해 0.7% 감소하면서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고 설비투자 증가율도 전년 같은 달보다 0.7% 감소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2004년 9월 경제지표가 발표되자 전문가들은 ‘제2차 경기하강 가시화’ ‘장기 불황 덫에 걸렸나’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2005년 추석, 설비투자 마이너스=2005년 추석은 9월17일부터 19일까지로 연휴기간이 길지 않았다. 이렇다 보니 생산은 증가세가 확대됐으나 소비와 설비투자는 연휴가 짧았음에도 좋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다. 우선 산업생산 증가율은 전년동월 대비 7월 6.9%, 8월 6.4%에서 9월 7.2%로 증가세를 실현했다. 반면 설비투자는 7월 4.2%, 8월 -0.7%에서 9월에는 -2.0%로 하락폭이 확대됐다. 소비재 판매도 8월 6.1%에서 9월에는 0.8%로 증가폭이 크게 둔화됐고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8월 96.4에서 9월 95.9로 추락했다.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상무는 “올해 추석이 속한 10월 경제지표는 일련의 상황과 연휴 일정 등을 고려해볼 때 2003년 이후 가장 나쁜 성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추석 특수 등 한국 경제에 경제 특수는 사라진 것 같다”며 “이 이면에는 최근 들어 가속화되고 있는 경제 양극화가 한몫을 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특히 올 10월에는 수출도 한자릿수 추락이 예상되고 있는 등 과거보다 더 나쁜 성적을 기록할 여지가 다분한 것이 현실이다. 정책당국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