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10월 취업자 31만6,000명 늘었다

청년실업률은 7%로 하락… 제조업 중심 취업시장 회복 조짐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민간 부문의 선전으로 취업시장이 회복기조를 나타냈다. 반면 실업률은 다소 상승하면서 7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년동월 대비 실업자 수가 늘었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는 2,417만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만6,000명 증가했다. 지난 9월 추석 등 계절적 요인으로 취업자 증가폭이 20만명대로 떨어지며 고용회복세가 둔화됐으나 한 달 만에 30만명대로 회복됐다. 10월 고용률은 5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1%포인트 상승했으며 8, 9월의 59.1%에 비해서도 증가세를 보였다. 통계청은 "희망근로사업 종료로 공공행정 부문에서 20만7,000명이 줄었지만 공공행정 이외 부문에서 52만3,000명이 증가해 민간 주도의 취업자 수 증가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10월 실업률은 3.3%로 전년동월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인구주택총조사원 선발에 따른 일시적 요인이 반영된 것으로 7개월 연속 3%대를 유지했다. 인구주택총조사 방문조사가 11월부터 시작되면서 10월에는 조사요원이 채용예정자 신분을 가져 실업자로 분류됐다. 이에 따라 10월 실업자는 전년동월보다 3만3,000명(4.2%) 늘었다. 그러나 청년실업률은 7.0%로 지난해 10월의 7.5%에서 0.5%포인트 하락해 개선됐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9월 고용시장이 추석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위축됐지만 취업자 증가폭이 30만명대로 복귀하면서 경기회복에 따른 고용회복세가 지속됐다"면서 "11월에도 민간고용이 확대되고 인구주택총조사원이 취업자로 반영되면서 30만명 중반대의 증가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령별 취업자 수를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20대만 감소했으며 그 외 연령층에서는 모두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자가 22만8,000명(1.6%), 여자가 8만7,000명(0.9%) 늘었다. 산업별 취업자 수는 제조업이 24만1,000명(6.2%)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또 건설업(9만4,000명, 5.6%), 전기ㆍ운수ㆍ통신ㆍ금융업(8만4,000명, 3.0%),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업(1만6,000명, 0.2%) 등도 증가세를 기록했다. 한편 비경제활동인구는 1,571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만명(0.8%)이 늘었으며 이 가운데 구직단념자는 20만9,000명으로 5만5,000명 증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