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환율 오르면 기업 수익개선 효과 없다"

수출 경쟁력 확대보다 외화빚 부담이 더 커<br>"환율 인위적 방어보다 시장 자율에 맡겨야"

환율이 올라도 기업의 수익 개선에 별반 효과가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업의 대외채무에 대한 원리금 부담이 증가, 수출 경쟁력 확대에 따른 효과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30일 ‘환율 변동이 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환율이 오르면 수출은 늘어나지만 기업들이 갚아야 할 외화 빚도 늘어나기 때문에 과거의 ‘환율 상승→수출 증가→기업 이익 개선’의 단순 공식이 들어맞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이 지난해 환율 변동에 따른 기업의 수익성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에 따르면 환율 하락에 따른 수출 감소 효과보다 외환 차익 증가 효과가 더 컸다. 달러당 1,150원을 기준으로 환율이 50원 떨어지면 갚아야 할 외화 빚이 줄면서 3조9,368억원의 외환익이 발생하고 수출(경상 거래)부문에서는 3조9,007억의 손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환율이 50원 올라 1,200원이 되면 갚아야 할 외화 빚이 늘어나 기업들은 6,303억원의 환차손을 입게 된다. 1,100원일 경우의 외환익과의 차이가 무려 4조 5,671억원이 되는 셈이다. 그러나 수출 부문에서 발생하는 이익 개선 효과는 5,648억원에 불과해 기업은 여전히 경상거래에서 3조2,359억원의 손해를 보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환율의 오르내림에 따른 기업들의 손익을 따질 때 물건이 오가는 경상 거래보다 돈이 오가는 자본 거래가 더 큰 영향을 끼친다는 의미다. 이러한 변화의 가장 큰 요인은 기업들의 대외 순채무 증가. 대외 채무에서 대외 채권을 뺀 대외 순채무 규모는 99년 360억3,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508억1,000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또 우리나라 기업의 대외 채권, 채무 중 상당 부분이 환 위험에서 회피(헤지ㆍhedge)되어 있지 못한 것도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됐다. 이승호 한국은행 외환시장팀 차장은 “환율 하락을 인위적으로 방어하면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은 높일 수 있는 반면 외채 규모가 큰 기업들의 외채 상환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며 “결과적으로는 기업의 수익성 개선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인위적인 정책보다는 시장 자율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이 차장은 그러나 “다만 기업의 대규모 대외 채무가 일부 대기업에 집중된 만큼 환율 하락시 중소 수출 기업의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