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내도 알몸투시 검색기 설치

6월까지 인천·김포·김해·제주공항에… 요주의 승객만 대상


전세계 공항에 테러방지를 위해 앞다퉈 설치되고 있는 알몸 투시가 가능한 '전신검색기(사진)'가 국내에도 도입된다. 국토해양부는 신종 항공테러 위협에 대비해 오는 6월까지 인천국제공항과 김포ㆍ김해ㆍ제주공항에 전신검색기를 설치ㆍ운영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인천공항에는 3~4대, 김포공항 등 국제공항에는 모두 3대가 설치될 예정이다. 전신검색기는 기존 금속탐지기에 의해서는 탐지가 어려운 세라믹 제품의 무기와 분말 폭약 등을 신체에 부착해 은닉한 경우에도 신체접촉 없이 신속하게 은닉한 물품을 탐지할 수 있다. 전신검색기는 지난해 크리스마스 때 미국 노스웨스트항공 여객기 폭탄테러 기도사건을 계기로 미국과 영국ㆍ네덜란드ㆍ일본 등이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또 캐나다와 프랑스ㆍ태국 등은 설치하기로 하는 등 국제공항에서 전신검색기의 도입이 가속화하고 있다. 하지만 전신검색기를 통해 알몸이 그대로 드러나면서 사생활 침해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국토부는 이를 대비해 검색기 운영에 앞서 공항공사 등 관계기관과 승객의 사생활 보호대책을 수립해 시행하기로 했다. 우선 1차 보안검색에서 의심되는 승객이나 항공기 안전을 위협하는 요주의 승객에 한해서만 운영되며 임산부와 영유아ㆍ장애인 등은 '알몸투시기' 대상에서 제외할 예정이다. 또 전신검색기 시스템에서 검색 이미지를 보관하거나 출력ㆍ전송ㆍ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없고 얼굴 등 신체 주요부분은 희미한 이미지로 처리되는 등 사생활이 최대한 보호되는 장비로 설치된다. 이미지 분석실을 격리해 이미지 분석요원은 승객을 볼 수 없고 검색 통제요원은 검색 이미지를 볼 수 없으며 이미지 분석요원이 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을 분석실에 가지고 들어갈 수 없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승객이 전신검색기 이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 지금처럼 별도의 공간에서 휴대용 검색기 등을 이용한 촉수검색이 실시된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승객의 수하물에 은닉한 액체폭발물 탐지를 위해 현재 김포ㆍ김해ㆍ제주공항에 설치ㆍ운영하는 액체폭발물 탐지기를 상반기 중 인천공항에도 설치하기로 했다. 정필만 국토부 항공보안과장은 "최근 해외파병 결정과 11월 개최예정인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등으로 항공보안의 주의가 높아졌다"며 "최신 항공보안 검색장비를 설치ㆍ운영해 출입국 안전을 확보하는 등 항공보안 수준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