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올해 수출전선은 양호, 채산성은 빨간 불

원자재 가격상승과 환율하락에 따른 채산성 악화 우려 높아

올해 우리나라의 수출은 제품 경쟁력과 신흥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하락에 따라 채산성 악화 가능성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지난달 국내 919개 무역업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4.9%는 새해 수출이 5% 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수출가격보다는 물량확대가 수출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품목별로는 대다수 품목의 수출증가가 전망되는 가운데 특히 컴퓨터와 기계류 수출에서 큰 폭의 호조세가 예상됐다. 또 국내 무역업체들은 올해 우리 수출의 가장 큰 기회요인으로 ‘경쟁국보다 우위에 있는 제품경쟁력(41.9%)’과 ‘신흥경제권의 성장세 지속(28.8%)’ 등을 꼽았다. 위협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상승(41.3%)’과 ‘원/달러 환율하락 및 변동성 확대(30.8%)’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우리 수출업계는 올해의 3대 수출 키워드로 ▦파이가 커지는 신흥개도국 내수시장 선점 ▦상대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제품경쟁력 제고 ▦채산성 악화에 따른 실속 없는 수출 방지를 꼽았다. 특히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수출물량이 늘어나더라도 원자재 가격 상승과 원ㆍ달러 환율 하락으로 채산성이 악화될 경우 수출 자체를 포기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올해는 무엇보다 수출채산성 악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수출채산성 악화에 대비하기 위해 수출기업은 환변동 보험이나 선물환을 활용하는 한편 원자재 선 확보 등을 통해 이익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정부 역시 환관리 서비스 지원을 확대하면서 안정적인 원자재 확보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