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중국내 외교공관 대폭 증설 추진

현재 홍콩 등 8곳에 추가로 텐진 등 8곳 추가

정부가 중국내 우리 외교공관의 숫자를 대폭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외교소식통은 이날 “중국에 진출하는 우리 국민과 기업들이 급증함에 따라 기존 8개 외교공관에 더해 8개 외교공관을 추가로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신설이 검토되는 지역은 텐진(天津), 웨이하이(威海), 다롄(大連), 우시(無錫), 충칭(重慶), 쿤밍(昆明), 하얼빈(哈爾濱), 마카오(澳門)이며 총영사관을 주로 개설하되 규모에 따라서는 분관 형태로 설치될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중국에는 주중 대사관 관할 아래 홍콩, 상하이(上海), 칭다오(靑島), 광조우(廣州), 선양(沈陽) ,청두(成都), 시안(西安), 우한(武漢) 등 총 8개의 총영사관이 개설돼있다. 이 소식통은 “연간 중국 방문인원이 500∼600만명에 달하고 중국에 진출하는 기업체들이 급격히 늘어나는 상황”이라며 “기존 공관의 규모로 외교적 수요를 감당하기는 불가능하다”며 공관 신설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재외국민 보호와 무역 증진 등 현장 중심의 외교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공관의 숫자가 크게 늘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외교부는 현재 관련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및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진행 중이며, 주재국인 중국 정부와도 논의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중국내 8개 공관이 신설될 경우 중국내 우리 총영사관 숫자가 주미 대사관 산하에 총 12개 총영사관이 설치돼있는 미국을 능가할 수도 있을 것으로 외교 소식통들은 보고 있다. 이외에 외교부는 대지진 참사를 겪은 아이티를 비롯해 마다가스카르, 잠비아, 우간다, 르완다, 라트비아에도 외교공관을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5월 현재 우리나라의 재외공관 숫자는 총 156개에 달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