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구상과 추상의 조화가 엮어낸 산수화

인사동 선화랑서 전래식 개인전


구상과 추상을 조화시켜 산수를 표현하는 화가 전래식(68)의 개인전이 오는 31일까지 인사동 선화랑에서 열린다. 분홍과 연두, 파랑을 섞어쓴 세련된 색감은 서양화처럼 보이지만 들여다 보면 은은한 먹선이 눈에 들어온다. 동양화를 전공한 전 화백은 80년대 후반부터 서구의 현대적 조형미를 받아들여 '조형산수(造形山水)'라는 그만의 독특한 화풍을 구축했다. 구체적인 산의 이미지를 기하학적인 추상의 틀로 보기 시작한 것은 폴 세잔느 등 인상파 화가들이 대표적인데, 서양의 그들이 빛의 변화에 주목했다면 전 화백은 자연 속에 내재된 기(氣)와 영겁의 세월을 끌어내고자 매달렸다. 과감한 색채와 면 분할기법은 서양화의 요소지만 기운생동과 여백, 선(線)의 기법은 지극히 동양적 요소다. 이를 통해 자연이 가진 태초의 기운, 숭고한 웅장미를 담고자 한 작가는 "정신적인 언어로 자연을 바라봐 달라"고 청한다. 이번 전시에는 평생 고집해온 '산'이라는 주제 안에서 광목과 먹, 아크릴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동양화와 서양화, 구상과 추상이 어우러진 작품 40여 점을 선보였다. 특히 신작에는 '숨은그림찾기' 하듯 보일까 말까 한 작은 크기의 사람이 산 속에 숨어있다. 그림에 생명력을 더하는 동시에 대자연 속에서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하찮고 미미한지를 드러내는 장치다. 작가는 제 1회 대한민국미술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화려하게 등단했고 중학교 교과서에 작품이 수록되기도 했다. 2008년 동아대 미대 교수직을 떠나 현재는 작업에만 몰두하고 있다. (02)734-045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