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학교급식용 우유 우선 공급

농식품부 수급대책 합의

우유 생산분이 학교급식 우유와 신선우유 판매에 우선 공급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4일 유정복 장관 주재로 우유업계, 교육계, 학부모 단체 관계자 등과 함께 '우유수급대책회의'를 갖고 학교급식 우유를 차질 없이 공급하기 위해 이 같이 합의했다. 올해 원유(原乳) 생산량은 190만5,000톤으로 전년보다 약 8% 감소하는 데 반해 수요는 193만9,000톤으로 지난해보다 0.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학교급식용 우유 등 시판우유는 150만5,000톤 정도가 소요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유 장관은 업체 대표들에게 학교 급식용 우유를 포함해 소비자가 직접 소비하는 시판우유를 우선적으로 공급해줄 것을 당부했다. 농식품부와 우유업체는 업체별 학교급식 실적을 파악해 우유수급에 차질 없도록 하고 중장기적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유제품 원료유 공급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상반기 중 분유 9,000톤을 할당관세로 긴급 수입하기로 한 데 이어 연중 분유 할당관세 물량을 2만1,000톤 추가하기로 했다. 또 분유 외에 치즈ㆍ버터ㆍ생크림ㆍ가공버터ㆍ전지조제코코아 등도 할당관세를 적용해 연중 수입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농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할당관세 적용품목이 수입되는 3~4월께면 유제품 원료유 공급부족 현상도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