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의 각종 경제지표들은 경기가 확실하게 살아나고 있다는 믿음을 주기에 아직은 조금 약하다.”(지난 10일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
정부가 강한 톤으로 경기 낙관론을 펼치고 있지만 경계론도 만만찮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올 1ㆍ4분기에 경기가 바닥을 찍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북한 핵 문제와 세계 경기가 안정세를 보이고 설비투자ㆍ소비 등 내수 지표도 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내외 여건이 여전히 불투명해 본격적인 경기회복 여부는 한두달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 우세한 실정이다. 즉, ▦원자재 가격 ▦환율 ▦금리 ▦물가 ▦실질소득 등 5대 변수가 우리 경제 회복을 좌우할 것이라는 얘기다.
우선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국제 원자재 가격의 동향이 변수다. 70년대 ‘오일 쇼크’를 불러왔던 자원민족주의가 재확산되면서 원자재 가격이 높은 수준에서 고착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고유가가 장기간 지속되거나 유가가 추가 상승하면 성장저하ㆍ물가상승 등으로 세계 경제가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한국이 포함된 12개국의 충격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금리상승도 우려 요인이다. 기업은행 기은경제연구소는 17일 ‘선진국의 경험을 통해 본 주택가격 하락의 파급효과와 정책적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주택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비용의 증가는 주택가격의 급락을 촉발할 수 있다”며 “고용시장이 호전되지 않은 채 부동산시장의 침체가 가속화할 경우 가계부실이 소비둔화ㆍ경기침체로 연결되면서 부정적 파급효과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율이 최근 하락세로 돌아선 것도 수출 증가세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원ㆍ엔 환율이 9년7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게 부정적이다. 한국의 상위 50대 수출품목 가운데 일본과 경쟁하는 품목 수가 절반인 24개에 이르는 마당에 우리 수출기업의 수익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물가가 최근 들썩거리면서 내수회복에 빨간불이 켜졌다. 한은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의 선행지표 성격인 원재료 및 중간재 물가는 올 4월 전달보다 2.0% 올라 석달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난달 수입물가도 전월 대비 2.3% 상승했고 생산자물가 전월비 수치도 1.1%로 나타나 2004년 2월 1.2% 이후 3년2개월 만에 최고치를 보였다.
이들 물가가 1~2분기 뒤 소비자물가에 본격 반영되는 점을 감안하면 올 하반기 체감경기 회복에 악영향을 줄 게 불을 보듯 뻔하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비용 측면에서 물가가 오르면 실질구매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특히 공공요금 인상으로 중산층 이하 서민들의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신규 일자리 부족이나 교역조건 악화 등으로 국민들의 실질소득이 개선되지 않는 것도 소비회복의 걸림돌이다. 국내총생산(GDP)과 국내총소득(GDI)의 성장률 격차는 지난해 1ㆍ4분기 4.8%포인트에서 3ㆍ4분기 1.8%포인트, 올해 1ㆍ4분기 1.4%포인트로 점차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올해도 여전히 1%포인트의 격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제가 성장한 만큼 국민들의 호주머니 사정이 나아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게다가 국제유가가 최근 상승세를 보이며 교역조건이 또다시 악화되고 있다.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수입단가가 상승하면 실질소득이 국외로 빠져나가면서 국민들의 실질구매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