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서경이 만난 사람] 권승화 언스트앤영 한영회계법인 대표

"IFRS 관련 국제기구 진출해 우리 목소리 적극 전달해야"<br>국내산업 특성·입장등 대변 필요<br>제도 정착땐 회계 투명성 높아져 기업 자금조달 한결 쉬워질것<br>'한국형 IFRS' 수출도 가능… K팝 못지않은 한류상품 될수도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각국은 자국의 이익을 새 기준에 반영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IFRS 관련 국제기구에 전문가들을 진출시켜 우리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전달해야 합니다." 권승화(사진) 언스트앤영 한영회계법인 대표는 "조선산업의 사례에서 보듯 IFRS 제정과정에서 국내 산업의 특성과 입장이 전혀 반영되지 못했다"며 "이 같은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IFRS에 국내 업체의 뜻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대표는 "2018년 동계올림픽의 평창 유치 쾌거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내 국내 인사들과 김연아 등 유명선수의 힘이 아니었다면 힘들었을 것"이라며 "금융당국과 기업도 힘을 합쳐 IFRS 내 국내 인사 진출을 늘려 앞으로 있을 IFRS 변화 추세에 대응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권 대표는 "우리가 다른 나라에 앞서 IFRS를 정착시킬 경우 회계 투명성이 높아져 기업들의 자금조달도 한결 쉬워진다"며 "도입 초기에 다소의 혼란이 있다고 해서 기업들이 투자를 소홀히 하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21일 서울 여의도 언스트앤영 한영회계법인 본사에서 IFRS 정착과 회사의 성장전략 마련에 골몰하고 있는 권 대표를 만나 업계 현안 등을 들어봤다. 권 대표는 세계 1위에 올라 있는 국내 조선업계가 수주를 하면 할수록 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에 대해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그는 "현재는 정덕구 전 산업자원부 장관이 국제회계기준재단(IFRSF) 이사로 임명돼 있으나 IFRS 규정 제정 당시에는 그렇지 못해 국내 조선산업의 특정과 상황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했다"며 "IFRS 의결기구인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와 이사회, 해석위원회(IFRSIC) 등에 국내 인사를 진출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IFRS와 관련된 기구에는 모두 55명의 의원과 이사가 있다. 미국의 경우 13명이 활동하고 있고 유럽도 16명이 관련 기구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웃나라인 일본과 중국에서도 각각 6명과 4명이 파견돼 활동하고 있다. 인도나 호주ㆍ남아프리카공화국ㆍ브라질 등도 2~3명의 인사를 IFRS 관련 기구에 파견하고 있다. 권 대표는 "현재 수익인식 방식을 비롯한 일부 기준의 개정을 놓고 미국과 유럽이 줄다리기를 하고 있어 앞으로 IFRS가 변화될 여지가 있다"며 "다소의 출연금 부담을 하더라도 우리의 목소리를 대변할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대표는 글로벌 무대에서 우리 회계법인들이 더 활약을 하기 위해서도 하루빨리 IFRS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4대 회계법인 매출을 다 더해도 글로벌 시장의 1%에도 못 미치고 있어 좁은 국내 시장을 놓고 싸우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다른 나라에 앞서 우리가 제도를 정착시킬 경우 K팝 못지 않은 효자 수출 상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등이 미적거리는 사이 우리가 IFRS 기술을 발전시키면 캐나다와 태국 등으로 얼마든지 수출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권 대표는 IFRS 선제 도입의 최대 장점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꼽았다. IFRS 도입으로 회계 투명성이 높아질 경우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이 사라져 기업들의 자금조달이 한층 쉬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금조달에 지출되는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권 대표는 "국내외 재무담당최고책임자(CFO)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자금을 조달하기가 한층 어려워졌다는 결론이 도출된 바 있다"며 "IFRS의 성공적 도입은 국내 기업에 용이한 자금조달은 물론 국가별 회계기준이 달라 생기는 이중 서류 작성에 대한 비용도 감소시켜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권 대표는 IFRS 정착을 위해 기업들의 인식 전환도 주문했다. 그는 "최근 경기 불확실성으로 IFRS 투자여건이 녹록지 않은 것도 사실"이라며 "하지만 현재 투자를 소홀히 할 경우 앞으로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더 많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 최고경영자(CEO)는 미래를 대비한다는 차원에서 전문가 육성 등에 꾸준히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IFRS 도입은 금융당국은 물론 기업에 어려운 부분 중 하나입니다. 그 중 여전히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는 점은 기업들에는 힘든 과제로 다가설 수 있습니다. IASB와 같은 IFRS기구에 적극적으로 국내 의견을 반영하고 한편으로는 전문인력을 육성해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면 현재의 IFRS 도입은 미래 국가 경쟁력의 한 요소로 부상할 수 있습니다. " 권 대표는 "앞으로는 한국형이나 호주형, 일본형 등으로 IFRS가 발전할 수 있지만 현재는 하나의 룰로 움직이고 있다"며 "미국과 유럽의 줄다리기 과정에서 앞으로 IFRS가 어떠한 모습으로 변모할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 대표는 "일각에서는 미국과 유럽 등 회계 선진국의 움직임에 따라 IFRS가 변화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대응하자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한다"며 "하지만 이럴 경우 글로벌 회계시장의 중심이 아닌 변방으로 밀려날 수 있는 부작용만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선제적 대응으로 우리나라가 글로벌 회계시장의 중심에 접근하는 게 미래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도 유리하다"며 "글로벌 회계시장이 하나로 움직일 수 있는 상황에서 우리가 할 일은 다른 나라들이 IFRS에 적극적이지 않을 때 먼저 나서 관련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넘버 1보단 지속 성장하는 회계법인으로"
■언스트앤영 한영의 지향점은 세무 부문 컨설팅 대폭 강화…필요하다면 M&A도 고려 권승화 언스트앤영 한영회계법인 대표는 국내 회계ㆍ컨설팅 업계의 대표적인 해외통으로 꼽힌다. 권 대표는 공인회계사로 활동한 30년의 세월 중 7년의 시간을 미국과 영국 등 해외 시장에서 보내며 선진회계문화를 체득했다. 특히 언스트앤영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이사회 주요 구성원으로 해외 회계시장 파트너들과 자주 접촉해 글로벌 시장의 정보를 주고받고 있다. 권 대표가 선진회계시장과 인연을 맺은 것은 지난 198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미국 로스앤젤레스 언스트앤영으로 교환근무 발령을 받은 게 계기가 됐다. 그는 "1982년 한국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한 뒤 5년 만에 미국이라는 낯선 땅을 밟게 됐다"며 "거리에서 만난 노숙자나 샌드위치 주문 등 모든 게 문화적 충격 그 자체였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3년간의 미국 생활 후 다시 국내로 돌아온 그는 1995년 영국이라는 새로운 곳으로 자리를 이동한다. 그 뒤 1998년까지 약 3년간 언스트앤영 런던 오피스 '코리아 데스크'를 이끌었다. 약 7년간의 세월을 일반 회계사에서 '코리아 데스크'를 이끄는 리더까지 다양한 역할을 소화하며 선진 회계문화와 지식을 얻은 것이다. 언스트앤영 한영의 수장으로 있는 현재도 그는 많은 시간을 해외에서 보내고 있다. 출장이 그의 생활의 일부분이 될 정도로 연례 글로벌 대표자 모임과 지역 파트너 총회 등 매년 20여차례에 걸쳐 해외 출장길에 오른다. 매달 역내 14개 주요 국가에서 돌아가며 주최하는 이사회 회의도 언스트앤영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이사회 주요 구성원으로 빠지지 않고 참석 중이다. 연이은 출장과 바쁜 일정 속에서도 그는 두 가지 생각을 반드시 실천하려고 노력 중이다. 그 중 하나가 '펀(Fun)'경영. 그는 "우수 인재를 확보하고 이들이 함께 어우러져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줘야만 글로벌 수준의 품질이 가능하다"며 즐거운 일터 만들기를 추구한다. 또 법인의 구성원과 이룬 과실을 지역사회와 함께 나눠야 한다는 생각에 영등포 푸드마켓과 사랑의 도시락, 라파엘클리닉 외국인노동자 진료 지원, 해비타트, 연탄나눔운동 등 사회적 책임(CSR) 활동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회계·컨설팅업계 대표적인 해외통
■권대표는 즐거운 일터 만들기 '펀경영'… 사회적 책임 활동에도 적극 "언스트앤영 한영의 목표는 국내 회계업계 넘버1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회계법인이 되는 것입니다." 권승화 언스트앤영 한영회계법인 대표는 "앞으로 컨설팅 부문을 한층 강화해나갈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을 위한, 고객에 의한 회계법인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컨설팅 사업을 한층 강화하고 성장 필요성에 따라서는 인수합병(M&A) 등도 고려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특히 컨설팅 부분 중 세무 부문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권 대표는 "금융위기 이후 유동성 환수가 과세를 통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며 "앞으로 이 부분이 고객에게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2~3년 내에 조세 분야를 2~3배 확대해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M&A에 대해서는 "기회가 있으면 시도할 생각"이라며 "덩치나 이름보다는 M&A 대상 법인이 언스트앤영 한영과 공동된 목표를 추구하는지를 최우선적으로 살펴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산업적 측면에서 환경과 관련된 클린테크놀로지나 스마트테크놀로지 등도 권 대표가 강조하는 분야로 언스트앤영 한영은 최근 감사본부의 이름을 에너지앤클린텍과 스마트앤테크놀로지, 커머셜인더스트리 등으로 바꾼 바 있다. 권 대표는 "세무 등 컨설팅과 산업 측면의 강화를 기반으로 언스트앤영 한영을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회계법인으로 키워나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에게 국내외적인 이익을 가져다주고 그들의 기업가 정신을 가장 잘 도울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하는 하나의 동반자로 인식시켜나갈 생각"이라고 힘줘 말했다. ◇약력 ▦1957년 부산 ▦용산고ㆍ연세대 ▦연세대 대학원 경영학과(MBA) ▦미국 로스앤젤레스ㆍ영국 런던 언스트앤영 오피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매각심사소위원회 위원 ▦언스트앤영 한영회계법인 대표 ▦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KBCSD) 감사 ▦KB금융공익재단 감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