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BIS자기자본비율 높이기 나서

미사용여신 수수료 올리고 부실채권 추가매각등

은행권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높이기 위해 미사용 여신에 대한 수수료 인상 등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권은 BIS 자기자본비율이 자본적정성 1등급 기준(10%)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부실채권 매각, 미사용 여신에 대한 수수료율 인상 등 조치를 취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최근 기업 당좌대출 등 한도거래여신의 미사용분에 대한 수수료율을 인상했다. 종전 수수료가 면제되던 기업신용등급 A+급(소호여신신용 3급) 이상에 대해 0.1%의 수수료를 적용하고 있으며 BB+급(6급) 이하 대출자에게는 0.8%에서 1.0%로 0.2%포인트 높였다. 미사용한도에 대해 수수료율을 높여 기업의 과도한 대출한도 설정을 막기 위한 조치다. 올해부터 은행의 건전성 기준을 강화한 신BIS협약(바젤2)이 시행되면서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이 대출 잔액에서 한도로 바뀌었기 때문에 미사용한도가 감소하면 충당금 적립액도 줄일 수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9월 810억원의 부실채권을 매각한 데 이어 3ㆍ4분기까지 1,880억원의 부실채권(NPL)을 매각했고 연내에 추가 매각을 통해 자기자본을 확충할 계획이다. 한편 외환은행도 이달 말 담보부채권 약 1,640억원과 무담보채권 약 1,750억원을 매각해 건전성을 높일 예정이다. 우리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의 BIS 비율은 2ㆍ4분기 말 현재 각각 10.39%, 10.50%로 자본적정성 1등급 기준(10%)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하나은행ㆍ외환은행ㆍ농협 등은 각각 10.08%, 10.04%, 10.15% 등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신BIS협약이 도입된 후 BIS 비율을 10% 이상 수준으로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며 "부실채권 매각, 후순위채 발행, 배당규모 조절 등 다양한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