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식편입제한 축소] 삼성.현대투신 반응 엇갈려

정부가 내달부터 재벌계열 투신운용사의 계열사 주식 편입제한을 강화한다는 규정과 관련, 삼성투신운용과 현대투신운용이 상반된 입장을 보여 눈길을 끈다.26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재벌계열 투신운용사에 대해 펀드별로 계열사 주식편입한도를 종전 펀드자산의 10%에서 7%로 낮춰 다음달부터 시행하되 한도초과분의 처분을 위해 6개월의 유예기간을 두기로 했다. 이에 대해 삼성투신운용측은 현재 삼성그룹 계열사 시가총액 비중이 24%에 이른다면서 한도규정에 묶여 보유 우량주를 판다면 앞으로 수익률 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예를들어 현재 삼성투신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경우 시가총액 비중이 16.4%에 달하고 있으나 삼성투신은 우량주인 삼성전자 주식을 어쩔 수 없이 한도내까지 팔아야 한다. 이럴 경우 삼성전자 외에 다른 주식을 사야 하는데 우량주인 삼성전자 만큼 수익률 추기가 만만치 않다는 설명이다. 삼성투신운용 관계자는 『기존 10% 한도 규정을 받을 때도 삼성전자 등 우량주에 속하는 삼성 주식을 편입하는데 애로를 겪었는데 한도가 7%로 낮아지면 삼성계열사 우량주를 사들이기가 더 곤란해지고 펀드 수익률도 나빠질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한도축소 규정으로 투자자에게 돌아갈 이익을 눈 앞에 두고도 놓친다는 것은 투자자보호 원칙에도 어긋난다며 특히 한도규정을 적용받지 않는 외국사와 경쟁이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반면 현대투신운용측은 『현대그룹 시가총액 비중이 9%에 이른다는 시중의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라』면서 『대략 4%대에 머물러 한도규정 축소와는 전혀 상관이 없다』고 시장의 의혹을 일축했다. /홍준석기자 JSHONG@SED.CO.KR 홍준석기자JSHONG@SED.CO.KR 입력시간 2000/04/26 18:42

관련기사



홍준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