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얇아진 지갑에 쇼핑 횟수도 뚝! 떨어져

상의 조사… 대도시 가구 57% "소득 줄었다"<br>백화점ㆍ할인점등 방문횟수도 최고 28% 감소

경기침체 여파로 10가구중 6가구 가까이가 1년 전보다 실제 쓸 수 있는 소득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최근 1년간 백화점ㆍ대형할인점ㆍ재래시장 등 모든 유통업체에 소비자 발길이 줄어 든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7대 광역시 소재 1,000 가구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구매패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57.9%(매우 감소 20.9%, 약간감소 37.0%)가 최근 1년 사이 가처분 소득이 줄었다고 응답했다. 27.0%는 1년 후 가처분 소득도 비관적으로 전망했고, 21.8%는 1년 후 가처분 소득을 예측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고 답해 미래를 매우 불확실하게 보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소득계층별로 월 5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의 경우 ‘가처분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이 33.7%(매우 감소 7.3%, 약간감소 26.4%)인 반면 월 1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은 69.5%(매우감소 35.9%, 약간감소 33.6%)에 달해 빈부 격차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쇼핑 자체를 기피하는 현상도 커지고 있다. 유통업태별 월평균 방문 횟수를 보면 ▦백화점은 1년 전 1.4회에서 현재 1회로 28.6% 줄었고, ▦할인점은 4회에서 3.3회로 17.5%, ▦재래시장은 6.9회에서 6.5회로 5.8% ▦슈퍼마켓ㆍ편의점은 8.6회에서 8.2회로 4.7%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객단가가 높은 백화점, 대형할인점이 타격을 더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소득 감소 이후 가장 먼저 줄인 지출 항목은 ▦의복구입비(24.7%) ▦외식비(18.3%) ▦식료품비(16.1%) ▦문화ㆍ레저비(13%) ▦저축(10.1%) ▦자녀 과외비(6.5%) ▦가족 용돈(5.1%) 순이었다. 구매 패턴 측면에서는 식료품과 생활용품은 품질, 의류는 디자인, 가구ㆍ가전은 브랜드를 가장 먼저 보고, 의류(백화점)를 제외한 나머지 품목들은 대형 할인점에서 가장 많이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