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땅값 2년째 올라… 상승폭은 미미

동작·강동·중랑구 높은 상승… 강남권은 제자리


지난해 서울 지역 땅값이 지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2년째 오름세를 보였지만 상승폭은 미미한 것으로 집계됐다. 강남구ㆍ서초구 등 강남권 땅값이 제자리에 머문 반면 재개발 호재 등이 있었던 동작구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서울시는 올해 1월1일 기준으로 시내 92만9,708필지의 개별 공시지가를 31일자로 결정해 공시한다고 29일 밝혔다. 개별 공시지가는 토지 소재지 구청장이 조사해 결정ㆍ공시하는 개별토지에 대한 ㎡당 가격으로 각종 국세와 지방세 및 부담금 등의 부과 기준으로 활용된다. 서울의 올해 개별 공시지가는 지난해와 비교해 평균 1.31% 상승했다. 공시지가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은 각각 19.3%, 15.6%, 12.3%의 두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지만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에는 10년 만에 처음으로 2.14% 하락했으며 지난해에는 3.97%의 반등세를 보였다. 올해 결정ㆍ공시 대상 토지 중 79만3,902필지(85.4%)는 가격이 올랐고 12만3,821필지(13.3%)는 보합이었으며 1만1,985필지(1.3%)는 하락했다. 자치구별로는 동작구가 2.21%로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강동구가 2.20%, 중랑구 1.99%, 성동구 1.92%, 용산구 1.88% 등의 순이었다. 강남구는 0.59%로 25개 자치구 중 상승률이 가장 낮았으며 서초구 0.85%, 중구도 0.92%에 그쳤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 1.34% ▦상업지역 1.16% ▦공업지역 1.54% ▦녹지지역 1.03% 등 순이다. 땅값이 가장 비싼 곳은 3.3㎡당 2억500만원을 기록한 중구 충무로1가 24-2 소재 네이처리퍼블릭으로 2년 연속 가장 비싼 곳으로 기록됐다. 반면 도봉구 도봉동 산50-1 소재 임야(도봉산 자연림)는 3.3㎡당 1만5,000원으로 가장 쌌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부동산정보광장(land.seoul.go.kr)이나 토지정보서비스(klis.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의가 있으면 6월1일부터 30일까지 토지소재지 구청 홈페이지나 서울시 토지정보서비스(klis.seoul.go.kr) 등으로 이의 신청서를 내면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