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삼성이 제안한 기술 미국서 UHD방송 표준된다

영상전송 효율 높이는 기술들이 잠정표준에 선정

김창용 부사장 “차세대 방송 기반기술 주도할 것 ”

삼성전자가 제안한 차세대 방송 기술이 미국 초고화질(UHD) 지상파 방송 규격의 잠정 표준으로 채택됐다.


삼성전자는 자사가 제안해온 차세대 오류 정정기술(LDPC), 비균일 성상도 방식 변조기술(NUC) 등이 미국의 차세대 지상파 방송규격 ‘ATSC 3.0’의 물리계층(Physical Layer)에 대한 표준에 포함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결정은 ATSC의 모든 회원사들이 이달 초부터 전자투표를 실시해 도출됐다.

관련기사



LDPC는 영상 전송시 손실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복원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복원에 필요한 코드가 줄어 들면 초고화질 영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NUC는 고화질 영상을 수신 환경에 맞게 최적화해 주파수를 변조하는 기술이다. 이는 영상 전송시 효율을 높여 차세대 초고화질 방송 구현하는 데 필요하다.

앞서 지난 5월에는 삼성전자가 미국 방송업체 싱클레어그룹(SBG)의 자회사인 원미디어와 함께 제안한 부트스트랩(Bootstrap)기술이 ATSC3.0 방송규격의 물리계층 첫 잠정표준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김창용 삼성전자 DMC연구소장 부사장은 “지난 5월에 이어 이번 ATSC 3.0 물리계층 잠정 표준 채택을 기반으로 앞으로 미국 및 국내 방송사들과 협력해 차세대 UHD 방송에 필요한 기반 기술 개발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