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정운찬 총리 전격사퇴, 세종시 수정안 불지피며 정치권 전면 부상

친박계 반대로 법안 부결되며 극심한 좌절


세종시 수정안에 불을 지피며 화려하게 정치권 전면에 부상한 정운찬 국무총리의 재임 10개월은 역대 어느 총리도 겪지 못한 도전과 좌절의 시간이었다. 29일 공식 사퇴를 선언한 정 총리는 지난해 9ㆍ3 개각에서 한승수 전 총리에 이어 이명박 정부 2대 총리로 지명됐다. 총리로 지명되기 전까지 민주당 등 야당으로부터 영입설이 끊이지 않았기에 그의 총리직 수락은 그야말로 정치권 최대 이슈로 정치 지형마저 뒤흔들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총리직 수락 후 정 총리는 "경제학자인 내 눈으로 볼 때 세종시는 효율적인 모습이 아니다"며 수정론을 공식 언급했다. 이후 정 총리는 '친서민 중도실용'의 기조에 맞춘 이 대통령의 전격적인 지원을 등에 업고, 지난해 9월 29일 취임 후 총 13차례에 걸쳐 충청권을 찾아 수정안 관철을 위한 행보에 집중했다. 그러나 충청권에 기반을 둔 자유선진당과 민주당 등 야당이 강력 반발하고 나선데다, 여권에서조차 친박(친박근혜계)계를 중심으로 수정안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자 정 총리의 수정안 행보는 난관에 봉착했다. 결국 지난달 29일 국회에서 세종시 수정안 관련 법안이 부결되면서 정 총리는 극심한 좌절을 맛보아야 했다. 때때로 '설화(舌禍)'에 휩쓸려 곤욕을 치르기도 한 정 총리는 급기야 지난 달 3일 대통령과의 자리에서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이 후 한 차례의 기자회견과 또 한 차례 대통령과의 자리 등 총 세 차례에 걸친 사의 표명 끝에 정 총리는 이날 학자의 자리로 돌아갈 것임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