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차베스 취임식 무기 연기… 베네수엘라 정국 혼란

야권 "거리 집회 불사" 반발


베네수엘라 정부가 10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우고 차베스(사진) 대통령의 취임식을 무기한 연기할 뜻을 시사하자 야권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정국이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베네수엘라 야당의 훌리오 보르헤스 의원은 6일 "헌법에서 정한 날짜에 취임식이 열리지 않을 경우 여러 국제기구들과 함께 소송을 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내부 문제로 헌법을 왜곡하려 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해외 단체와 대사관ㆍ국가 등과 연대해 캠페인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대선에서 야권 후보로 나섰다가 차베스에게 패한 엔리케 카프릴레스 주지사도 "분명한 점은 정부를 다스릴 수장이 없고 국정이 완전히 마비됐다는 것"이라며 "차베스가 취임선서를 못할 경우 헌법에 규정된 가이드라인이 작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야권은 실제 취임식이 열리지 않을 경우 집회도 불사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정부의 불명확한 태도에 반발해온 야권이 이를 저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관련기사



이 같은 반발은 정부가 헌법에서 정한 대통령 취임식 날짜를 연기할 수도 있다는 뜻을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지난 4일 베네수엘라 부통령인 니콜라스 마두로는 "대통령 취임선서는 형식적인 것으로 무기한 연기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여당은 차베스 지지자들에게 대규모 집회를 열 것을 호소해 물리적 충돌도 예상된다. 디오스다도 카베요 베네수엘라 국회의장은 7일 "차베스 지지자들은 10일에 거리행진을 해달라"며 "국정공백은 있을 수 없고 차베스가 물러나기를 원하는 야권에도 희망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차베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11일 쿠바에서 암수술을 받은 후 현재까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베네수엘라 헌법 231항에는 대선 이듬해 1월10일 대통령 당선자가 취임식에서 선서를 해야 하고 피치 못할 사정이 있을 경우 헌재 앞에서 선서하면 대통령에 취임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반면 233항에는 대통령 취임 전 명백한 공백이 있을 경우 재선거를 실시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이에 여당과 야당은 유리한 조항을 끌어들여 대립하고 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