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내 은행 M&A 2014년까지 불참"

이백순 신한은행장

국내 은행의 인수합병(M&A)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빅4’ 중 하나인 신한은행이 오는 2014년까지는 M&A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공식화했다. 국내 은행의 M&A전에서 주요 시중은행 중 한 곳이 불참 의사를 공시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백순 신한은행장은 4일 아시아개발은행(ADB) 총회가 열리는 우즈베키스탄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신한은행은 조흥은행과 LG카드를 인수했기 때문에 M&A를 서두를 시기가 아니다”라며 “수익 확보 속도 등을 감안하면 2014년이면 어느 정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행장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증자에 대해서는 주주들이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지만 수의계약이 아닌 경우 인수대상 은행의 실제 가치보다 비싸게 살 수 있어 섣불리 덤벼들 수 없다”며 “현재로서는 합병 후 통합(PMI) 등을 통해 해 1.5가 아닌 2 이상을 만들어 낼 수 있을지 자신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 행장은 이어 “은행 간 짝짓기는 모두 신한은행에 위협이 될 것”이라며 “은행 간 합병에 따른 위험을 분산하려는 고객의 수요를 유치하고 합병 후 안정되기 전까지 영업에 매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신한은행은 이를 위해 국내 은행 M&A 대신 일본과 인도ㆍ베트남 등 해외시장 진출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 행장은 “해외로 나가 이익을 분산시켜야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며 “예전에는 거점 확보에 주력한 반면 지금은 일본과 베트남ㆍ인도 등에 선택과 집중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은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에서 현지법인 설립을 시도했지만 금융위기 등으로 포기했다. 이 행장은 “금융위기 때 외화자산이 200억달러였지만 30억달러 규모의 상환 요구 때문에 곤란을 겪기도 했다”며 “미리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7억달러 수준인 외화 비상금(커미티드 라인ㆍCommitted Line)을 20억~30억달러 수준으로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