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 권력지형 미묘한 변화 조짐

李대통령, 박희태에 힘…직할체제 강화<br>'추경파동'에 홍준표 원내대표 영향 축소<br>親李 소계파 분화속 親朴도 결속력 과시

한나라당의 박희태(오른쪽) 대표와 홍준표(왼쪽) 원내대표, 안경률 사무총장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 얘기를 나누고 있다. /최종욱기자

박희태 당 대표와 홍준표 원내대표를 투톱으로 한 한나라당 내 권력지형에 미묘한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원외인사로서 그동안 당무에 주력하며 원내 문제에 말을 아껴온 박 대표가 최근 부쩍 국회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반면 명실상부한 원내사령탑 역할을 해온 홍 원내대표는 추가경정예산안 처리파동을 계기로 요즘 발언에 다소 신중한 입장이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서는 당내 권력의 중심축이 박 대표와 홍 원내대표의 '투톱'에서 박 대표 '원톱'으로 바뀐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박 대표를 중심으로 한 당 최고위원회의가 원내 사안의 의사결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한층 힘을 받고 있는 반면 홍 원내대표가 이끄는 의원총회의 기능은 약화돼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다. 이는 이명박 대통령이 정기국회에서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인 개혁입법 드라이브를 앞두고 박 대표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최근 박 대표와의 정례회동에서 "당 대표가 원내외를 아우르는 중심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관리형 대표인 박 대표에게 권력의 추가 기울면 결국 이 대통령의 당 장악력이 커서 직할체제가 강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대통령, 직할체제 강화 가능성=박 대표가 당 장악력을 끌어올리며 홍 원내대표와의 관계도 재정비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표는 23일 의원총회에서 "(추경 처리로) 결자해지를 했으니 원내를 계속 이끌어갔으면 싶다"며 홍 원내대표를 재신임했다. 눈여겨봐야 할 대목은 박 대표가 이 대통령의 주문에 따라 원톱식 당 운영체계 구축에 나서고 청와대가 뒤에서 도울 것이라는 점이다. 청와대가 최근 박 대표 취임 이후 3개월에 두 차례에 그쳤던 정례회동을 2주에 한번씩 하기로 결정해 박 대표의 위상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친이그룹 소계파 간 분화 가속화=홍 원내대표 퇴진론에서 주목할 점은 친이명박계 내부의 권력경쟁 분화가 가속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큰 흐름은 이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의원 중심의 '친이 직계', 이재오계와 정두언 의원 등 친이 소장파 연합인 '친이 강경파'의 힘겨루기다. 두 그룹은 지난 총선 당시 '이상득 용퇴론', 권력 사유화 논란, 당 체제정비 등을 놓고 충돌한 데 이어 이번에 '홍준표 퇴진론'을 계기로 다시 부딪쳤다. 소(小)계파 간 자기 목소리를 높이는 등 독자 세력화 행보가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다. 일단 이번 사태를 계기로 홍 원내대표의 유임을 암묵적으로 지지했던 이상득 의원 등 당 원로들과 친이 직계들은 자신들의 당내 입지를 강화하게 됐다. 반면 홍 원내대표의 퇴진론을 앞장섰던 친이재오계 의원들은 지난 총선 과정에서 이상득 의원의 사퇴를 주장했다 실패한 데 이어 두 번째 패배로 당분간 조직적으로 현안에 대한 목소리를 내지 않고 추이를 지켜볼 것으로 예상된다. ◇박근혜 전 대표 또 다른 권력축 과시=홍 원내대표의 퇴진론 과정에서 친박근혜계는 단단한 내부 단결력과 입지를 또 한번 확인했다. 홍 원내대표 구하기의 한 축으로 나서 커다란 힘을 과시했기 때문이다. 60여명에 달하는 친박계 의원들의 결속력이 대단했다는 게 당 내부 분석이다. 친박계 한 핵심의원은 "한나라당 내 확고한 지분을 가진 세력임을 재확인했다"면서 "이는 박 전 대표가 가장 유력한 차기 잠룡임을 당내에서 인정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