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더 일어날 수 있는 GOP 총기난사 사고

무고한 젊은이들이 또 희생됐다. 강원도 고성군 육군 22사단 예하부대 일반전초(GOP)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고로 5명이 숨지고 7명이 부상당했다. 숨진 병사들의 명복을 빈다. 슬프고 분하다. 고귀한 목숨을 허망하게 보냈기에 슬프고,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사고가 되풀이되는 현실에 분노가 치민다. 이래서야 어디 마음 놓고 자식을 군에 보낼 수 있겠는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전역을 불과 3개월 앞둔 시점에서 사고를 내고 무장탈영한 임모 병장이 관심병사였다는 사실이다. 군은 1차 검사에서 자살 우려가 큰 A급 관심병사로 분류됐던 임 병장이 2차 검사에서는 B급으로 판정됐다고 해명하지만 강화도 주둔 해병대의 관심병사가 총기를 난사해 4명이 죽은 사건을 불과 3년 만에 잊어버렸다는 말인가.

관련기사



군의 초동대응도 허술하기 짝이 없다. 사고 발생 두 시간이 지나서야 진돗개 경보가 발령됐다는 점은 사고에 대처할 골든타임을 놓쳐버렸다는 얘기와 다름 아니다. 탈영한 임 병장이 소총과 실탄은 물론 수류탄까지 휴대했다는 사실도 사고 4시간이 지난 뒤에야 알렸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비슷한 유형의 사고가 또 터질 수 있다는 점이다. 혹독한 병영생활이나 집단 따돌림을 못 이긴 병사가 생활관에서 총기를 난사하는 사고는 지난 2005년 이후 벌써 세 번째다. 과거를 미뤄볼 때 군이 이번 사고를 어떻게 처리할지가 뻔히 보인다. 대국민사과 성명을 발표하고 재발방지를 천명하며 하위 간부를 중징계하지만 장성급 고위 지휘관에 대해서는 솜방망이 처벌하는 수습방안이 이번에도 되풀이된다면 사고는 얼마든지 재발할 수 있다.

정부도 반성할 필요가 있다. 연초부터 세월호 참사까지 비상대기가 이어지면서 군은 극도로 피로한 상태다. 만약 '군의 기강을 확립'한다며 일방적인 긴장을 요구한다면 사고 가능성은 더 높아질 수 있다. 고위 책임자는 중징계하되 병사들의 고초를 어루만지지 않는다면 사고는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