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불붙은 자원전쟁] 인터뷰, 다비드 보렐리 外

"수출稅부과해도 광산 경쟁력 문제없어"<br>"정유능력 부족… 한국 공장건설 참여 희망"

다비드 보렐리

카를로스 알베르토 다비드손

다비드 보렐리 아르헨티나 광업청 광업투자국장과 카를로스 알베르토 다비드손 아르헨티나 국영에너지공사(Enarsa) 대외협력본부장을 만났다. 국영에너지공사인 Enarsa는 연근해ㆍ심해유전 소유권과 분양권을 갖고 있으며 육상유전의 경우 다른 유전개발 업체와 동등한 자격으로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 다비드 보렐리 광업청 광업투자국장
-한국 기업과의 협력은. ▲동광 관련 여러 프로젝트에서 접촉이 있었다고 들었다. 그러나 민간업체 상황이어서 자세한 내용은 모른다. -광업 부문에서의 수출세는. ▲수출세는 지난 2002년 처음 만들어졌다. 지금 수출세와 관련해 말이 많은데 오해가 있기 때문이다. 수출세 부과 이전부터 생산을 시작해 지금 문제가 되는 것은 알룸부레 광산 등 3개 프로젝트뿐이다. 나머지 프로젝트들은 타당성 조사나 시작 당시부터 수출세를 알고 있었던 것들이다. 수출세를 부과한다고 해도 경쟁력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수출세 때문에 외국인 투자가 줄고 생산이 감소할 가능성은. ▲수출세 때문에 문제가 된 것은 지난해 말부터다. 향후 1~2년간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지금까지 광업 부문의 투자금액에는 변화가 없다. -유전 부문의 임대료를 대폭 올렸는데 광산 임대료도 올리나. ▲광산 임대료는 1997년 책정돼 지금까지 변화하지 않고 있다. 미 달러화가 아니라 페소화로 책정돼 개인적으로 너무 낮다고 생각한다(페소화는 달러화 대비 약 3분의1로 평가 절하됨). 앞으로 유전 임대료처럼 올릴지는 모르겠다. -어떤 광물이 투자 유망한가. ▲철광석은 거의 없지만 다른 금속광물들은 많다. 동ㆍ금ㆍ희토류ㆍ인듐ㆍ게르마늄ㆍ붕산ㆍ리듐 등도 많다.
■ 카를로스 알베르토 다비드손 국영에너지공사 대외협력본부장
-한국 기업들과 접촉한 경험은. ▲아직 없지만 조만간 있을 것 같다. 금명간 천연가스(LNG)와 심해 및 연근해유전 국제입찰을 시작한다. 9개 지역의 250개 광구를 입찰할 예정이다. -지난해 원유수출이 급감했는데. ▲아르헨티나의 정유능력이 부족하다. 정유공장이 2개 정도 더 있어야 한다. 한국에서 아르헨티나 정유공장 건설에 참여한다면 좋을 것이다. 관심이 많다. -올 겨울(7~8월) 에너지 위기 재연 가능성은. ▲지난해 부에노스아이레스가 매우 추웠다. 그래서 에너지 위기가 발생했다. 올해는 지난해와 같은 추위가 없을 것이라는 기상 관측이 있고 에너지 공급도 늘어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수출세ㆍ광구임대료 인상 등으로 외국 기업들이 많이 어려운데. ▲아르헨티나는 기본적으로 내수 위주다. 내수가 많아지면 이를 맞추기 위해 (수출억제) 수출세를 올린다. 그렇지 않으면 내린다. 내수가 충족되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