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물류대란' 수송비 폭등세

철도파업 영향…전동차 승객 사고 빈발 >>관련기사 철도파업으로 화물운송이 차질을 빚으면서 전국적인 물류대란이 빚어질 조짐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각 기업들은 파업 이틀째에 접어들면서 화물을 제때 수송하지 못해 곳곳에서 수송난을 겪고 있으며 운수업체도 화물차 부족으로 늘어나는 주문을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 이 와중에 일부 화물업체는 적잖은 웃돈을 업체에 요구, 기업들의 수송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는 수출화물 차질 현황을 조사한 결과 종합상사의 경우 아직 별 문제가 없지만 철강, 석유업계, 산업공단 등에서 차질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철강업계의 경우 5량에 해당하는 수송차질이 빚어졌고 산업공단에서는 충청, 경기 남부지역에서 33개, 여수.광주지역에서 50개 등 모두 83개의 컨테이너 수송이 어려움을 겪었다. 석유와 유류수송은 울산지역 100량, 온산지역 31량 등 모두 131량분이 애로를 겪고 있다. 한국제지는 육로 수송으로 대체함으로써 수송비 부담이 61.8% 늘었고 한국석유공업은 비용부담이 122%늘었다. 생산물량의 90% 이상을 수출하는 동국무역은 이날 오전 본사에서 대책회의를 갖고 화물차 사전확보 방안과 파업장기화에 대비한 수출물량 이송대책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무역협회는 철도를 통한 의왕발, 부산.광양행 수출화물 수송량이 평소의 30% 수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화물열차에 18%의 수송을 의존하던 대한통운은 이번 파업으로 육상 수송이 크게늘고 있는데다 외부 주문까지 폭증하자 각 지점에게 화물차 확보를 지시했다. 그러나 차량 확보가 쉽지 않은데다 용차 운임이 평소 36만원에서 50만원까지 폭등, 물류비 부담이 크게 늘었다. 건설교통부는 "파업이 계속되면 수송지연으로 인한 부산항 수출입 화물의 적체,비축물량의 감소 등으로 사회.경제적 혼란이 예상된다"면서 "복귀 기관사등을 비축물량이 적은 유류나 생필품, 수출입 화물에 우선 배정, 수송력을 최대한 끌어 올리겠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업계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