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11월 7일] 청년 일자리 대책 마련 서둘러야

최근 한나라당을 이끌 젊고 참신한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지난 10월29일과 11월3일 부산대와 충남대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채용설명회와 강연을 했다. 청년일자리는 오래 전부터 고민해온 문제였지만 현장에서 학생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니 심각성이 더욱 절실하게 다가왔다. '본질적 자질과 열정이 중요할 뿐 나이나 겉으로 보이는 스펙은 중요하지 않다'고 강연에서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과연 현실적인 벽을 얼마나 넘을 수 있을까'를 생각하면 답답함이 앞섰다. 결국 학생들이 느끼는 벽을 제거해주는 것이 정부와 정치권의 역할이다. 먼저 지금까지 관 주도로 진행된 일자리 정책이 수요자인 학생참여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 두 번째, 중소기업도 일자리는 남아도는데 일할 사람이 부족하다고 불만을 토로할 것이 아니라 중소기업을 제대로 알리는 데 주력해야 한다. 세 번째는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중견기업이 대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일관된 중소기업 정책이 필요하다. 이런 기본적 토대 위에 구체적으로 몇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는 대학생중소기업옴부즈맨제도의 도입이다. 중소기업의 애로사항만이 아니라 중소기업의 성장ㆍ고용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중소기업을 학생들의 시각으로 홍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각 대학교에서 선정된 대학생을 중소기업당 1인 내지는 2인을 파견하고 해당 중소기업은 장학금을 지급해주면 등록금 문제와도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중소기업은 파견된 대학생을 채용으로 연결시키면 구인난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두 번째는 모니터링 결과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이다. 중소기업 관련 홈페이지에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세 번째는 직업 및 진로상담을 전문적으로 하는 취업지원관제를 확대ㆍ도입하는 것이다. 예컨대 학생 300명당 1인의 취업지원관이 입학할 때부터 취업할 때까지 전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많은 제안이 있을 수 있다. 아직까지 청년일자리 문제 해결방안은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정부나 당이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는 좀 더 성숙된 대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전국민의 참여가 필요하다. 가령 집단지성이 구조화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하는 것으로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통해 많은 의견을 주고받고 토론을 할 수 있다. 트위터 계정은 항상 열려 있다. 많은 트위터리언의 좋은 의견을 부탁드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