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1월12일, 캘리포니아대학의 심리학교수를 지낸 제임스 베드퍼드 박사가 74세를 일기로 생을 마쳤다. 사인은 간암. 그는 확실히 죽었지만 부활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다. 냉동 처리된 시신이 보존되고 있으니까. 베드퍼드는 불치 사실을 알게 된 직후부터 냉동을 자처했다. 훗날 의학이 발전하면 소생해 병을 고치겠다는 희망에서다. 과연 죽은 사람이 살아날 수 있을까. 숨이 멎더라도 세포가 살아있다면 소생할 수 있다는 ‘가설’에 따르면 가능하다. ‘데몰리션맨’ 같은 영화가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유한한 인간의 무한을 향한 꿈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주역은 베드퍼드가 최초의 냉동인간이 된 지 5년 뒤에 설립된 ‘알코르(Alcor)생명연장재단’. 비영리재단인 이 곳에서는 계약자가 사망하는 즉시 냉동작업에 들어간다. 시신을 인수해 특수처리를 거쳐 영하 196도의 액화질소탱크에 보관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15만달러. 머리만 보관하는 경우는 8만 달러를 내야 한다. 왜 머리만 냉동할까. 영화 ‘쥐라기공원’에서 호박(보석) 속에 화석으로 남은 모기가 빨았던 공룡 피의 DNA 복제를 통해 공룡을 만들어낸 것처럼 머리만 있다면 미래에서는 몸까지 재생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다. 알코르재단이 전신냉동 중인 시신만 87개. 비슷한 수의 부분냉동(머리)도 보관 중이다. 전세계를 합치면 냉동보관 중인 시신은 수백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냉동인간들은 부활할 수 있을까. 냉동이 풀려도 복잡하기 그지없는 신경세포와 기억회로망이 되살아날까. 새로운 세상에서 적응할 수는 있을까. 도무지 모를 일이다. 확실한 점은 단 한가지다. ‘30년쯤 지나면 소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던 베드퍼드의 관은 사후 41년이 지나도록 기약 없는 세월을 기다리고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