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운용, 제조업 중심 반등때 유리… 삼성운용, 금융주에 베팅때 적합

■ 중국본토ETF 상품 비교해보니…<br>한국운용, 300개 대표기업 투자 효과… 작년 11월이후 수익률 14%<br>삼성운용, 내주 '차이나 A50' 상장… 지수선물에 투자해 헤지 쉬워


새해 들어 중국 증시의 부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과거의 급등락을 경험한 투자자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위험한 개별종목 투자보다는 주요 주식에 분산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중국본토 상장지수펀드(ETF)에 관심을 가져볼 만 하다. 상품은 국내 대표 자산운용사인 한국투자신탁운용과 삼성자산운용이 운용하는 2가지가 있으며 각각 추종지수부터 운용 방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투자 성향과 목적에 따라 잘 골라야 된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최초 중국본토ETF인 한국운용의 ‘KINDEX 중국본토CSI300’은 지난해 11월 29일 상장 이후 최근 14일까지 일평균 37만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같은 기간 전체 ETF 중 8번째로 높은 수치이자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ETF 중에서는 가장 규모가 크다. 수익률 역시 상장 후 14.48%를 기록하며 선전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장 시 1,086억원이었던 시가총액도 두달도 안 돼 1,532억원까지 불어났다.


국내 ETF 1위 업체인 삼성운용은 다음 주 중 중국본토ETF인 ‘KODEX FTSE 차이나 A50’을 상장한다.

한국운용의 ETF는 CSI300을 추종한다. CSI300지수는 중국 상하이거래소와 선전거래소의 공동 지수로 양 거래소에 상장된 300종목으로 구성된다. 산업재와 소재ㆍ내수 등 다양한 업종으로 구성돼 중국의 실제 경제구조와 유사하다는 장점이 있다.


삼성운용의 상품은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의 A50을 벤치마크로 삼는다. 이 지수는 FTSE가 상하이거래소와 선전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50개 종목으로 산출한 것으로, 금융주 비중이 60% 이상이다.

관련기사



업계 관계자는 "두 벤치마크 모두 중국을 대표하는 지수지만 성격은 다르다"며 "중국 경기가 턴어라운드하면서 제조업 중심의 시황 반등이 이뤄질 것으로 점치는 투자자라면 CSI300 쪽이, 대형 금융주 중심의 성장을 예상하는 투자자라면 A50이 적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헤지수단도 다르다. ETF는 가격변동 및 추종지수와의 편차를 줄이는 등 ETF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 선물로 헤지를 한다. 삼성운용 상품은 싱가포르거래소에 상장돼 있는 SGX FTSE China A50 지수 선물에 투자해 헤지를 손쉽게 할 수 있다.

한국운용 상품은 관련 선물 대신 ETF를 차입해 헤지를 한다. CSI300선물은 싱가포르에 상장된 A50선물과 달리 중국 상하이에 상장돼 있고, 이 선물ETF는 내국인에 한해서만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선물을 통해 바로 헤지를 하지 않고 관련 주식이나 ETF를 빌리는 절차를 거쳐 헤지가 이뤄질 경우 거래절차와 비용 측면에서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적격외국기관투자자(QFII)에게도 CSI300선물 투자를 허용하는 안이 추진되고 있어 이 부분은 해소될 가능성이 높다.

ETF 총 운용보수는 한국운용(연 0.7%)이 삼성운용(연 0.99%)보다 싸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A50의 경우 기업분석이 확실한 (금융주 중심의) 대형주가 주 편입 종목이라 안정성 면에서 우수하지만, 중국 증시 규모와 비교할 때 CSI300 편입종목들도 대부분이 대형주에 해당돼 종목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다"며 "중국 경기 전망과 섹터별 전략 등에 따라 투자 대상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