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흥진의 할리우드 통신] 상영중 영화 집에서도 본다

워너 등 美 영화사들 VOD 판매 방식 도입키로


메이저 스튜디오들이 자사 영화가 극장에서 상영되는 동안 같은 영화를 집에서 주문해 볼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온-디맨드(VOD) 판매 방식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워너브라더스가 맨 먼저 이 방식을 택하겠다고 발표했다. 워너사는 내년 여름부터 VOD 판매 방식을 도입하게 될 것이라면서 가격은 편당 30~50달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워너와 함께 디즈니도 곧 이 방식을 통해 자사 영화를 가정에 공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워너사가VOD방식으로 가정에 공급할 영화는 '서커 펀치'(사진)와 '행오버 2', '그린 랜턴' 등으로 알려졌는데 '서커 펀치'와 '그린 랜턴'은 가정에서 입체영화로도 볼 수 있다. 편당 가격 30달러가 비싸다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따지고 보면 그렇게 비싼 것이 아니다. 요즘 LA 일류 개봉관의 편당 입장료는 12달러. 여기에 주차료와 팝콘 및 음료수, 기름값을 합하면 요즘 한 사람이 영화 한편 보는데 드는 돈은 최소 30달러에 달한다. 이에 비해 30달러를 내고 집에서 영화를 볼 경우 보는 사람 수에 제한이 없으며 번거롭게 극장까지 안 가도 되기 때문에 한 가족이 30달러를 내고 극장에서 상영 중인 영화를 본다는 것은 결코 비싸지 않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래서 영화사들은 VOD 방식이 성공하면 대여 금액을 올릴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연예전문지 버라이어티가 보도했다. 따라서 이 방식으로 가정에 공급될 영화들은 모두 대중적인 흥행성이 강한 영화나 가족영화가 될 것으로 보인다. 워너사의 이 같은 발표에 격하게 반대 의사를 표명한 측은 전미극장주협회다. VOD방식으로 영화가 공급되면 수입에 큰 차질을 빚을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극장 수입의 절반 정도를 팝콘과 음료수에 의지해온 극장주들로서는 손실이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타격이 우려되는 또 다른 업체는 영화 편당 하루 대여에 최저 1달러까지 받고 있는 무인DVD 판매망 네트플릭스와 레드박스. 이들 염가 무인 판매망으로 인해 비디오 판매에 막대한 타격을 입고 있는 메이저 스튜디오들은 올초부터 이들 업체에 자사 DVD가 출시된지 28일 후에야 영화를 저가에 대여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