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朴대통령 "수출 근간인 제조업 혁신 3.0전략 적극 추진해야"

무역의 날 기념식서 “수출산업 체질 바꿔 제2무역입국 열어야” 강조

박근혜 대통령은 5일 “수출의 근간인 제조업을 IT와 융합하는 제조업혁신 3.0 전략을 적극 추진해 산업부문의 창조경제를 구현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코엑스에서 열린 제51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 참석, “중국의 기술추격이 거세지고 일본은 엔저를 바탕으로 제조업을 재무장하고 있으며, 미국과 독일 등 선진국들은 스마트생산시스템을 통해 제조업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도전을 극복하고 제2의 무역입국을 이루기 위해선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통해 경제체질을 근본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며 “우리는 반세기만에 세계경제의 변방에서 7위의 무역대국으로 올라선 저력이 있는 만큼 그 저력을 바탕으로 수출산업 체질을 바꿔나간다면 제2의 무역입국 시대를 활짝 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제조업 혁신은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가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며 “정부는 기업의 자발적 혁신 노력을 최대한 뒷받침할 것이고, 제조업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를 과감히 혁파하고, 무인자동차, 인공장기 등 융합 신산업의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또한 박 대통령은 “중소·중견기업들이 수출역군으로 거듭나야 한다”며 “정부는 2017년까지 10만개 이상의 수출 중소기업과 1억 달러 이상을 수출하는 글로벌 전문기업 400개를 키워낼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우리 기업들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 활용해 넓어진 경제영토를 마음껏 누빌 수 있어야 한다”며 “올해 우리는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중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와 FTA를 타결했고, 이제 우리 기업이 FTA를 수출에 활용하는 일이 남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FTA 수출활용 지원대책과 관련, “무역협회에 ‘차이나 데스크’를 설치할 것”이라며 “한중 FTA 활용에 필요한 모든 지원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등 포괄적인 중국시장 진출전략을 FTA 발효 전에 선제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상대적으로 FTA 활용도가 낮은 농수산식품에 특화된 원산지 관리시스템도 보급하겠다”며 “글로벌 기업이 한국을 중국시장 진출의 전진기지로 삼도록 R&D 센터와 헤드쿼터 등 외국인투자도 적극 유치하겠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