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리금융 이팔성 회장 "증권 중심 비은행부문 강화"

"증권·파이낸셜 증자…국내외 M&A도 추진"


이팔성(사진)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은행에 몰려 있는 그룹 비중 정상화를 위해 증권 중심의 비은행 사업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30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취임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우리금융의 지분이 각각 35%와 50%에 불과한 우리투자증권과 우리파이낸셜에 대해 자본 증자를 계획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성공적인 민영화와 지속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해 국내 금융산업의 구조개편을 주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 회장은 “우리금융의 최우선 과제는 성공적인 민영화”라며 “금융산업 구조개편 과정에서 우리금융이 주도적 역할을 하고 공적자금 회수의 극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선 국내에서 추가 M&A 등을 통해 규모를 키울 것”이라며 “그 이후 해외 시장에서 M&A 기회를 적극 탐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통해 자산을 500조~600조원으로 늘려 세계 30위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회장은 비(非)은행 부문 육성과 관련해 내년 자본시장통합법(자통법) 시행 등을 앞두고 증권 중심의 투자은행(IB)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해외시장 진출에 대해서는 그룹 차원에서 이탈리아 유니크레디트나 스페인 산탄데르은행의 해외진출 모델을 연구해 지점보다는 현지법인 형태로 진출하고 신흥시장을 주로 공략해나갈 계획이다. 한편 자산건전성과 관련해 이 회장은 “주택담보대출과 프로젝트파이낸스(PF) 대출 증가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하락 등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며 “현재 130% 정도인 수신 대비 여신의 비율을 80~90% 정도로 낮추기 위한 방안들을 다각도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