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경쟁력 떨어지는 소재부품? 옛말…올해 무역흑자 1,000억 달러

1분기 대일 수입의존도도 18%...역대 최저

=1분기 소재부품 對日 수입의존도 역대 최저

우리나라의 소재·부품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올해 무역수지흑자 규모가 1,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 대한 수입 의존도는 줄어들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1분기 소재·부품 수출액은 648억8,000만 달러, 수입액은 404억4,000만 달러로 244억4,000만달러의 무역흑자를 냈다고 17일 밝혔다.


소재·부품 수출액은 작년 동기보다 2.1% 증가해 전 산업 수출액의 47%를 차지한 반면 수입액은 변동이 없었다.

관련기사



소재·부품 무역흑자는 전체 무역흑자의 4.3배에 달하는 규모이다. 산업부는 올해 연간 소재·부품 무역흑자가 사상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의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일반기계부품(6.7%), 전자부품(6.8%), 수송기계부품(3.0%) 등 부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어났다.

일본과의 소재·부품 교역에 따른 무역적자는 38억2천만달러로 무역역조가 계속되고 있지만 적자 규모는 5분기 연속 줄었다.

특히 소재·부품에 대한 대일 수입의존도는 18.1%로 분기 기준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대일 수입의존도가 20% 밑으로 떨어진 것은 처음으로, 작년에는 1분기 21.5%를 비롯해 연간 20.8%였다.

김선민 산업부 소재부품정책과장은 “우리 소재·부품의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산업을 주도하는 가운데 수입처를 아세안 등 신흥시장으로 다변화해 대일 수입의존도가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