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 매년 석유의존도 급증 국내 총체적 위기 가능성"

삼성경제硏 보고서 경고

삼성경제연구소는 6일 ‘중국발 에너지 위기 가능성과 에너지 안전보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최근 중국의 고성장으로 국제 원유 수요가 급증, 한국에도 원유 물량 확보의 위기가 닥쳐오고 이에 따라 ▦에너지 공급 안보 ▦경제 안보 ▦국가 안보에 총체적인 위기 가능성을 경고했다. 중국의 석유 소비는 매년 3~5%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특히 석유 수입 의존도는 지난 2000년 34%에서 오는 2020년에는 62%로 높아질 전망이다. 중국의 원유 수요와 높은 중동 의존도 확대가 중국은 물론 일본ㆍ한국 등 아시아의 원유 프리미엄을 높이는 등 가격위기 가능성을 고조 시키고 있다. 보고서는 이 같은 프리미엄이 아시아의 중동 의존도 영향이 크다며 중국의 석유 중동 의존도가 2002년 34.9%에서 2015년 72.7%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아시아 국가는 더 많은 원유 구입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발 에너지 위기 가능성이 미국과 중국간의 갈등 심화로 정치적인 돌발 상황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중국이 미국 주도의 국제 원유 시장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대신 해외 유전 개발 사업에 적극 진출하는 등 독자적인 에너지 확보에 주력하고 있어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할 수 있다는 것. 실제로 미국은 중국이 원유 수급을 위해 경제적ㆍ시장적 접근 방식보다 고전적인 지정학적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는 데 대해 우려감을 표시하고 있다. 연구소는 따라서 한국은 원유 공동 비축을 비롯한 동북아 국가간 에너지 협력을 확대하고 러시아ㆍ중앙아시아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해 80%에 이르는 높은 중동 석유의존도를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