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벤처, 코스닥등록 연기·포기 잇따라

심사강화 '게이트' 여파로등록 심사가 강화되고 벤처 관련 비리가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면서 일부 업체의 경우 등록계획을 다시 원점에서부터 다시 검토하는 등 벤처기업들이 코스닥 진출 계획을 연기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18일 벤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부터 코스닥 등록심사가 이전보다 엄격해 지면서 아직 기준을 맞추지 못한 기업들이 등록계획을 연기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 최근 잇따라 터지고 있는 '게이트'의 여파로 시초가가 낮아질 것을 우려한 업체와 주간사들이 등록일정을 재검토하는 하는 등 자의반 타의반으로 계획을 연기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코스닥 직상장을 추진하던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A사는 지난달말 코스닥 위원회로부터 시장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답변을 듣고 등록 시점을 오는 3월로 재조정했다. 회사나 주간사측에서는 최종 검토전까지만 해도 주식분산요건, 매출액 등에서 직상장에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갑자기 심사요건이 강화된 것을 통보받은 것이다. L사장은 "최소한 2년간의 매출액이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 보류의 이유"라고 말하고 "무난히 통과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가 갑자기 이런 일이 닥쳐 허망한 기분"이라고 허탈해 했다. 솔루션 업체인 B사는 원래 이달말께 등록 신청을 낼 계획이었지만 최근 주간사와의 협의를 거쳐 코스닥 진출계획을 5월 이후로 연기했다. 주간사측에서 지금 등록을 추진하면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수요조사에서 공모가격이 예상보다 낮게 나올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기 때문이다. 이회사의 K이사는 "지금 추진한다면 벤처에 대한 이미지가 바닥으로 실추된 이상 주가를 높게 받기는 힘든 것이 사실"이라며 "시장 상황을 봐 가며 좀 더 탄력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주간사와 회사의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일산에서 전자부품을 개발하는 C사는 계획 자체를 백지화시킨 상태. 원래는 올해 3월께 주간사를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등록 준비에 들어갈 계획이었지만 이제는 국내가 아닌 자스닥이나 차스닥과 같은 해외증시 쪽으로 방향을 바꿀 지도 모른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K사장은 "증시 상황은 좋을 지 모르나 각종 비리사건으로 벤처에 대한 인식이 안좋은 상황에서 굳이 국내를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전제하고 "좀 더 시간을 갖고 어느 방향이 좋을 지 증권사 등으로부터 자문을 얻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송영규기자 [경제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