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 CKD에도 고관세… 국내자동차 수출 차질우려

중국정부가 이달부터 현지조립형반제품(CKD)수입을 완성차로 인정, 높은 관세를 매기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우리 자동차업계의 CKD수출이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계획위원회는 2010년 세계 주요자동차생산국으로 성장한다는 전략 아래 신자동차산업정책을 마련, 이달부터 발효했다. 이에 따르면 중국당국은 기존의 차체(운전실) 엔진 트랜스미션 구동축 비구동축 샤시 동력전달시스템 브레이크시스템 등 8개 수입 조립제품을 완성차로 구분하기로 했다. 이들 조립제품의 중국 수입관세는 기존 17%에서 완성차 관세인 34.2%로 두배 가량 올라 사실상 수출이 힘들어진다. 중국 정부는 이와 함께 과잉상태의 자동차업계 합리화 차원에서 자동차 신규공장 허가 조건을 대폭 강화해 신규 자동차업계의 진출을 억제하기로 했다. 자동차 공장을 지으려면 신설초기부터 엔진공장을 포함해야 하고 5만대이상 라인 구축, 투자액이 20억 위안화를 넘어야 한다. 이는 사실상 봉쇄한 것과 다름없다는 게 업계의 의견이다. 반면 대형화를 유도하기 위해 중국내 시장점유율 15%를 넘는 대형자동차그룹은 각 개별그룹의 중장기 발전계획에 따라 독자적 발전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여기에다 대형자동차그룹이 국외 자동차그룹과 연합, 국내외 자동차 생산기업의 합병 및 재편할 경우 정부차원에서 지지해주기로 했다. 이번 조치로 중국 공장 없이 CKD수출을 통해 현지 자동차조립에 의존해 온 GM대우차와 쌍용차에 가장 큰 타격이 우려된다. GM대우차는 지난해 라세티(현지명 뷰익 엑셀르)와 마티즈(현지명 시보레 스파크)를 각각 4만5,648대와 720대를 수출했으며, 쌍용차는 전체 수출(7,618대)의 40%가 넘는 3,054대를 수출했다. 반면 현대차그룹은 CKD수출 보다 현지공장 생산이 많기 때문에 중국의 이번 정책 변화에 실보단 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그룹은 내년 베이징현대기차(20만대)와 둥펑위에다기아기차(15만대) 등 현지 합작법인의 매출이 전체 시장의 15%를 넘어 대형차 그룹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한동수기자 bestg@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