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공학펀드, 새대안 투자상품 부상

변동장서 선전… 주식형펀드보다 수익률 좋아

‘금융공학펀드(RCF)’가 새로운 대안 투자상품으로 부각되고 있다. 24일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파생상품펀드의 일종인 금융공학펀드는 부침이 심했던 최근 장세에서 국내 주식형펀드의 수익률을 웃도는 선전을 보이고 있다. 금융공학적 기법을 활용해 국내 주식 및 주가지수선물에 투자하는 ‘푸르덴셜변동성알파파생상품’은 최근 1개월 수익률이 마이너스 0.90%를 기록,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펀드 평균수익률(-10.17%)을 상회했다. ‘삼성SAFEUP혼합3’ 등 운용기간 3개월, 설정액 50억원 이상의 상위 10개 금융공학펀드도 모두 국내 주식형펀드보다 우수한 성적을 내고 있다. RCF펀드는 운용사들이 설계한 금융공학 시스템을 활용한 상품으로 특정구간에서 수익이 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주가연계증권(ELS)과 유사하지만 주식 직접 매매를 통한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또 주가연계펀드(ELF)는 확정수익 전체를 과세하는 반면 금융공학펀드는 주식 및 주식 관련 매매차익에 대해선 세금이 없다. ELS나 ELF와 유사한 수익 구조를 가지면서도 절세 효과 및 환금성 면에서 유리하다. 시스템 매매에 의존해 원금 보장 가능성은 높지만 시장의 변동성이 예상보다 클 경우 원금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정지영 에프앤가이드 펀드 애널리스트는 “RCF는 주식 포트폴리오와 코스피200지수 간에 추적오차가 발생하는 등 시장 변동성이 심할 경우나 과도한 복제 비용이 발생한 경우에 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원금 비보장 상품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