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수교 이후 對中 누적수출액 1조달러 돌파

중국과 수교한 이후 현재까지 누적된 우리나라의 대중(對中) 수출액이 1조달러를 돌파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올해 4월까지 우리가 중국으로 수출한 금액이 1조41억달러를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1965년 일본과 수교한 이후 현재까지의 총 수입액 1조21억달러를 웃도는 수치다.


대중 누적 수입액은 6,969억달러로 집계됐다.

가장 많이 수출한 품목은 반도체(1천6억8,300만달러), 가장 많이 수입한 품목은 컴퓨터(470억5,300만달러)로 나타났다.

이어 평판디스플레이·센서(898억1,800만달러), 석유제품(686억3,000만달러), 무선통신기기(492억7,200만달러), 섬유류(484억8,700만달러) 순으로 수출 실적이 많았다.


반도체(443억1,300만달러)와 평판디스플레이·센서(240억2,500만달러)는 수입 실적에서도 각각 2위와 5위를 차지했고 철강판(386억3,500만달러), 의류(335억5,500만달러) 등도 수입 비중이 높았다.

관련기사



수교 이후 중국과의 무역으로 벌어들인 돈(한중 무역흑자)은 3천445억7,000만달러(약 388조원)에 달해 올해 우리나라 정부 예산 342조원보다 더 많다.

투자 규모는 한국 565억달러, 중국 44억6,000만달러로 우리가 12배 이상 더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행 부문에서도 중국을 찾은 한국 관광객이 3,986만5,417명인 반면 방한 중국 관광객은 1,617만424명에 그쳐 여행 수지는 1998년 이후 매년 적자를 내 작년까지 누적 적자폭이 약 110억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최근 중국이 단순 가공산업에서 내수 위주로 무역 구조를 전환하고 있지만 우리는 가공무역 비중이 70%대로 높아 대중 수출을 통해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전체 수출액의 30%에도 못 미쳤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전경련의 한 관계자는 “가공무역 위주의 수출에서 벗어나 중국의 내수·서비스시장 진출을 위한 ‘메이드 포 차이나’(Made for China)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