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범양상선, 새관리인 선임싸고 또 위기

범양상선, 새관리인 선임싸고 또 위기 국내 대표적인 선사(船社) 가운데 하나로 지난 94년부터 법정관리를 받고 있는 범양상선에 다시 위기가 닥치고 있다. 최근 5년간 영업흑자를 기록하면서 대표적인 법정관리 성공기업으로 꼽혀온 범양상선은 새 관리인으로 선임된 윤영우씨의 퇴진을 요구하며 노조는 물론 임원들도 사표를 내면서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왜 그런가=법원과 한국산업은행 등 범양 채권단협의회는 최근 범양의 경영이 호전되자 3자매각(M&A)을 추진했다. 여기서 법정관리인인 유병무 사장에게 적극적으로 M&A에 나설 것과 인력감축 등 구조조정을 강력히 요구했다. 유 사장은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사장까지 오른 `오리지널 범양인'으로 감원을 동반하는 인수합병에 소극적이었다. 채권단의 압박이 강해지자 그는 임기 만료를 5개월 앞두고 지난달 말 자진 사퇴했다. 법원은 새 관리인으로 윤영우씨가 선임됐고 이에 범양은 비상대책위를 구성하면서 `결사반대'를 외치고 나섰다. 지난 9일 윤 관리인이 첫 출근하자 임원의 대부분인 12명, 노조를 중심으로 한 직원들이 사표를 낸 데 이어 집단조퇴와 함께 10일에는 집단연차(토요일 휴무) 등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법원의 입장=서울지법 파산부(양승택 부장판사)의 입장은 분명하다. 한번 내린 결정은 절대 뒤집을 수 없고 뒤집을 이유도 없다는 것이다. 법원의 권위도 문제지만 범양 임직원이 반대한다고 법정관리인을 교체하면 좋지 않은 선례를 남길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법정관리 중인 곳이 71개사다. 새 관리인이 경영능력에서 문제될 것도 없다는 게 법원의 판단이다. 법원의 한 관계자는 “범양 임직원들의 행동은 법원의 경영권 간섭을 반대하는 집단행동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진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 윤 관리인도 “법원에서 적법한 절차를 거쳐 선임됐기 때문에 물러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임직원들과의 문제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조금만 더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비대위의 입장=“윤 관리인만 아니면 누구라도 좋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윤 관리인이 현대상선에 근무할 때 `범양은 곧 망할 회사'라고 비방하던 사람이라고 주장하며 “어떻게 범양을 위해 일을 할 수 있느냐”고 반문하고 있다. 이들은 “윤영우씨를 신임 관리인으로 인정할 수 없다”며 “전임직원이 회사를 그만둔다는 각오로 저지하겠다”는 단호한 입장이다. ◇어떻게 될까=법원과 신임 관리인의 입장은 확고하다. 비대위는 결사반대다.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다. 한가지 변수는 아직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해상근무 직원들의 구심점인 해상노조의 결정이다. 현 비대위는 육상 근무직원들로 구성돼 있다. 해운업체의 특성상 해상노조가 누구 손을 드느냐에 따라 `힘의 균형'이 깨질 수도 있다. 안개 속으로 빠져드는 범양호는 다음주가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단 1분도 배를 멈출 수 없는 해운업체의 특성상 사태가 장기화되기 힘들다는 게 지배적인 전망이다. 입력시간 2000/11/10 17:12 ◀ 이전화면

관련기사



채수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